[세월호 침몰-이모저모] “정부 안일한 대응 염증” “TV만 볼 수 없어서…” 일손 놓고 온 봉사자들

[세월호 침몰-이모저모] “정부 안일한 대응 염증” “TV만 볼 수 없어서…” 일손 놓고 온 봉사자들

입력 2014-04-23 00:00
업데이트 2014-04-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V를 보면 가슴만 답답하고 화가 나 직접 내려왔어요. 위에서는 다들 눈치만 보고 있는데 여기서 뭐라도 할 수 있는 걸 찾아야죠.”

지난 16일 세월호 침몰 소식을 접한 이후 정부 당국의 무원칙하고 답답한 대응에 염증을 느낀 시민들이 한 손이라도 더 보태기 위해 전남 진도로 속속 모여들고 있다. 22일 전남 자원봉사센터에 따르면 사고 첫날 390명이던 자원봉사자들은 22일 현재 19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에 참여한 단체도 80여 개에 이른다.

경기 수원의 물류센터에서 일하는 현모(37) 씨는 지난 16일 사고 소식을 접한 뒤 진도로 내려갈 결심을 굳혔다. 전날 밤샘 근무를 한 탓에 몸이 피로했지만, 정부의 안일한 대처를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회사는 “사람도 없는데 빠지면 어떡하느냐”고 눈치를 줬지만 감봉 처리를 하고서 진도행을 택했다.

현씨는 진도 실내체육관에서 보급품들을 나르고 있다. 그는 “고등학교 때 성수대교가 무너지는 걸 보면서 충격을 받았다. 이후에도 대형사고들이 반복해 일어났지만 달라진 건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사고 지점과 가장 가까운 진도 팽목항에서 나흘째 두부를 만들어 식사를 제공하고 있는 조성래(62)씨는 “20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떠오른다”고 회상했다. 당시 1층 매장에서 일을 하던 지인의 딸이 변을 당했다. 이후 재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현장으로 달려가 밥 짓기 봉사 활동을 해왔다. 조씨는“사람들은 발을 동동 굴리면서 애가 타는데 상황실에서 브리핑만 하고 가는 것은 국민들을 제대로 대변하는 게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진도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4-23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