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전항해사 인터뷰 “16번 채널 써야했는데…화물 결박도 문제”

세월호 전항해사 인터뷰 “16번 채널 써야했는데…화물 결박도 문제”

입력 2014-04-22 00:00
업데이트 2014-04-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전 항해사. / JTBC
세월호 전 항해사. / JTBC


‘세월호 전항해사 인터뷰’ ‘16번 채널’ ‘결박’

JTBC ‘뉴스9’에서 세월호 전항해사 김모씨가 침몰한 세월호의 ‘16번 채널’의 비밀을 폭로했다.

세월호 전항해사 김모씨는 종합편성채널 JTBC ‘뉴스9’ 21일 밤 방송에서 전화 인터뷰를 통해 침몰한 세월호가 진도가 아닌 제주도로 연락한 이유를 밝혔다.

세월호 전항해사는 이날 “세월호는 (해경과 인근 선박에 사고 사실을 전파할 때) 12번과 16번 채널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세월호 전 항해사는 그러나 “16번 채널을 쓰면 문제가 발생한다”며 폭로를 시작했다.

세월호 전 항해사는 “공용채널인 16번 채널을 쓰면 해양수산부와 해경 등에 보고 사실이 다 밝혀진다”며 “그렇게 되면 회사가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 있어 16번 채널을 잘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16번 채널을 규정상 틀어놓곤 있지만 주로 12번 채널을 쓴다”고 전했다.

이에 손석희 앵커는 “16번 채널을 쓸 경우 잘못이 만천하에 드러나기 때문인 것이냐”고 묻자 세월호 전 항해사는 “그렇다”고 답했다.

세월호 전 항해사는 “다른 배들도 대부분 그렇게 하고 있다”며 “꼭 고쳐져야 할 문제다. 부탁한다. 제대로 좀 잡아줘라”라고 말했다. 손석희 앵커도 “말도 안되는 상황”이라며 “교정해야 될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세월호 전 항해사는 또 이날 침몰한 세월호의 화물 결박 문제도 꼬집었다. 세월호 전 항해사 ”세월호의 화물 결박은 꽉 하지 않는다. 형식적인 결박에 그친다. 결박 용구가 비용이 많이 든다. 회사에 신청해도 잘 안 내준다. 그러니까 화물이 제대로 결박되지 않아 크게 요동친 것”이라고 폭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