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감독기관은 뭐했나” 어린이집 뇌사 아기 사망 비난 폭발

“관리·감독기관은 뭐했나” 어린이집 뇌사 아기 사망 비난 폭발

입력 2013-05-28 00:00
업데이트 2013-05-28 14: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집에 맡겨진 생후 6개월 아기가 지난달 9일 갑자기 뇌사 상태에 빠졌다가 지난 27일 사망함에 따라 네티즌들의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전면적인 무상보육에 따라 어린이집 입소 어린이가 꾸준히 늘고 있는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육기관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경남 마산 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생후 6개우러 된 김모군은 지난달 9일 낮 12시 쯤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한 어린이집에서 잠을 자다 갑자기 이상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당시 김군은 호흡과 백박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에서 심폐소생술을 했지만 김군은 뇌사 상태에 빠졌고 49일만에 끝내 숨졌다.

경찰은 폐쇄회로(CC)TV와 정확한 사인을 조사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 때문에 숨진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은 갓 태어난 아기를 심하게 흔들거나 떨어트릴 경우 뇌나 망막 손상으로 출혈이 생겨 갑자기 사망하거나 뇌사 상태에 빠질 수 있는 증상이다. 병원 검사에서는 “뇌출혈과 두개골 골절이 발견됐고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이 의심된다”는 소견도 나왔다.

네티즌들은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각종 온라인 게시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무서워서 어떻게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길 수 있겠나”, “혹시 가혹행위가 있었는 지 철저히 수사해 원인을 밝혀야 한다” 등의 항의글이 빗발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가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벌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아기가 갑자기 사망할 만큼 문제가 있다면 믿고 맡길 수 있는 제도를 점검해야 한다”, “일 터지고 나서 수습하려하지 말고 정부가 현장에서 서비스를 정밀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MBC 시사프로그램 ‘PD수첩’은 이날 비리를 폭로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재취업을 막기 위해 공공연하게 작성되는 ’블랙리스트’에 대한 실체를 폭로할 예정이어서 관심이 모아질 전망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