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동 주택가 방사선 초과 검출 파문 확산] 생활권 방사선 관리 ‘구멍’

[월계동 주택가 방사선 초과 검출 파문 확산] 생활권 방사선 관리 ‘구멍’

입력 2011-11-04 00:00
업데이트 2011-11-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활권 방사선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 지난 1일 서울 월계동 주택가에서 자연 선량을 크게 초과한 방사선이 측정됐지만 이런 곳이 얼마나 되는지, 상세한 오염원은 무엇인지조차 알아낼 방법이 없다. 정부가 방사선 관리를 원자력발전소와 동위원소 등 특정시설에만 집중한 탓에 생활권 방사선 물질에 대한 추적조차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3일 “해당 지역에 깔린 아스팔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해외에서 들여온 폐고철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폐고철이 방사선에 오염된 것 같다.”고만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올초 경주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고, 당시에도 아스팔트가 원인으로 지목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자력안전위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아스팔트 오염 경로는 파악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영세한 업체들이 포장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 아스팔트 제작 업체와 원료 수입업체 등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이유를 들었다. 원자력안전위 측은 “중국·일본산 폐고철의 경우 방사선 오염 사례가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생활권 방사선 오염실태를 파악할 계획조차 세우지 않고 있다. KINS 관계자는 “방사선 수치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이 아닐 뿐더러 현실적으로 전국의 모든 지역을 감시할 인력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면서 내년 6월에 ‘생활권방사선안전관리법’이 발효되면 수입 물질에 대한 방사선 검사가 강화될 것이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 법은 수입 물질에 대해 방사선 오염 여부를 전수 검사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환경운동연합과 방사능으로부터 아이들을 지키는 모임인 ‘차일드세이브’, 마들주민회 등은 이날 서울 노원구 월계동의 한 이면도로에서 방사선 물질 오염과 관련한 긴급기자회견을 가졌다. 이 도로는 지난 2일 KINS가 서울 대기의 10배에 이르는 방사선량을 확인한 곳이다. 기자회견에서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원전비대위 위원장은 “KINS가 방사선량이 기준치의 10배 이상 검출됐는데도 안전하다고만 하는데 경악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휴대용 계측기를 이용해 인근 지역에서 직접 방사선량을 측정해 보였다. 환경운동연합이 인근 인덕공업고 부근에서 측정한 결과, 기준치의 15배에 이르는 최대 3.0μSv(마이크로시버트)가 측정됐다. 측정을 진행한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간사는 “최고치를 근거로 계산하면 성인의 피폭 허용치인 연간 1m㏜(밀리시버트)를 27배나 초과하는 양”이라고 말했다. 김혜정 위원장은 “정말 국민 건강을 걱정한다면 기준치를 넘긴 방사선이 측정된 곳의 아스팔트를 재시공하고, 전국적인 전수조사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노원구청은 최초 측정지점인 이면도로에 깔린 아스팔트를 1~2일 내에 즉각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구청은 환경운동연합이 이상 수준의 방사선량을 추가 측정한 2곳에 대해서도 아스팔트 교체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박건형·김진아기자 kitsch@seoul.co.kr
2011-11-04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