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설문조사…51% “학생들 말 안들어”
지난 3월 체벌금지 정책이 도입된 이후 학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를 둘러싸고 교사와 학생ㆍ학부모 간에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달 20~30일 전국 56개교의 학생 1천643명, 학부모 1천478명, 교사 1천5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체벌 금지 이후 학교 변화에 대해 교사의 51.1%가 ‘교사의 생활지도에 불응하는 학생이 많아졌다’고 말했고 31.5%는 ‘교내 질서가 무너졌다’고 답했다.
하지만 학생과 학부모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느낀다’는 답변이 36.4%와 39.4%로 가장 높았고 ‘교사의 생활 지도에 불응하는 학생이 많아졌다’고 느낀 비율은 19.3%와 19.2%였다.
체벌 금지 이후 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을 바라보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인식도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의 문제 행동에 소극적으로 대처한다’고 답한 비율이 35.3%로 가장 높았고 ‘학생ㆍ학부모와 갈등 상황을 회피한다’는 의견도 31.7%로 높았다.
반면 학부모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느낀다’는 응답이 27%로 가장 많았고 학생은 ‘다양한 대체 지도 방법을 모색한다’(36.6%)와 ‘별다른 변화가 없다’(35%)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학교에서 적절한 수준의 신체적 고통이 수반되는 ‘교육벌’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 응답자의 83%, 학부모의 56%가 ‘교육벌이 약간 또는 매우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학생은 ‘교육벌이 약간 필요하다’(29.9%)와 ‘보통이다’(28%)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교육벌의 교육적 효과에 동의하는 비율은 교사(82%)와 학부모(63.7%) 뿐 아니라 학생(47.8%)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교총은 이번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13일 ‘체벌금지 이후 바람직한 학생 생활지도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여는 정책세미나에서 “체벌금지 이후 힘들어진 학생지도를 위해 적절한 수준의 신체적 고통이 수반되는 ‘교육벌’을 허용해야 한다”고 입장을 개진할 예정이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체벌을 대체할 바람직한 학생 생활지도 사례로 ▲ 상벌점제도와 마일리지제를 연계해 학생들이 받은 상점을 학교 축제의 장터에서 물건을 살 때 사용하도록 한 제도 ▲ 벌점을 많이 받은 학생에 대한 징계를 학생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는 ‘학생자치법정’ 제도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