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졸女 10년새 배…낮은 경제활동률 여전

서울 대졸女 10년새 배…낮은 경제활동률 여전

입력 2011-06-26 00:00
업데이트 2011-06-26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장애 요인 ‘육아’…대학진학률 여성 66%ㆍ남성 59%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서울 여성이 10년 전에 비해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시가 발간한 ‘e-서울통계’ 제48호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30세 이상 시민 중에서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은 2000년 57만5천363명에서 지난해 112만4천286명으로 10년 새 95.4% 증가했다.

석ㆍ박사 학위를 가진 여성은 같은 기간 5만9천441명에서 15만5천545명으로 2.6배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졸 이상 서울시민 중에서 여성 비중은 43.8%로 10년 전에 비해 7.2% 포인트 늘어났으며 고학력 인구의 남녀 구성비율 차이도 26.8% 포인트에서 12.4% 포인트로 대폭 줄어들었다.

여학생 대학진학률은 2000년 54.6%로 남학생보다 6.5% 포인트 뒤졌지만 이후 꾸준히 늘어 2008년부터는 남학생 대학진학률을 앞섰다. 지난해 대학진학률은 여학생 66%, 남학생 59.8%다.

학력수준의 남녀 격차는 크게 줄었지만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 비율은 남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경제활동을 한 30세 이상 여성은 166만4천여명으로 전체의 52.1%를 기록했다. 이는 남성에 비해 30.7% 포인트나 낮은 수치다.

연령별로는 25∼29세에서 15.7%(33만3천명)로 취업자 비율이 가장 높다가 30∼34세에 11.6%(24만6천명)로 하락했으며 35∼39세는 11.2%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에 사는 1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2009년 조사에서는 취업의 장애 요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9%가 ‘육아부담’을 원인으로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