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 인정받고 직장·국적 얻어…꿈 같은 생활”

“난민 인정받고 직장·국적 얻어…꿈 같은 생활”

입력 2011-06-20 00:00
업데이트 2011-06-2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阿출신 2인 국내 정착기

“난민으로 인정받고, 콩고에 있던 가족들도 데려왔고 제대로 된 직장도 생겼죠. 하루하루 마음을 졸이면서 난민 인정을 기다리고 있는 수천 명의 신청자들에게도 하루 빨리 난민 지위를 인정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난민신청 6년간 ‘고난의 시간’

인천 숭의동에서 세 명의 자녀, 아내와 함께 단란한 가정을 꾸리고 있는 콩고 출신의 난민 도나 욤비(45). 민주화 세력을 돕는 ‘반정부 행위’로 자국 정보기관의 위협을 받다 한국으로 와 난민 지위를 인정받은 지 어느덧 3년째다. 낯선 땅에서 다섯 식구가 생활하기에 아직도 어려움이 많지만, 주변의 도움으로 마련한 집과 안정된 직장은 난민 인정을 기다리고 있는 신청자들에 비하면 꿈만 같은 일이다. 지난해 봄부터 부평의 한 치과병원에 정식 직원으로 채용된 욤비는 이 병원의 글로벌마케팅팀 직원으로 병원 직원들에게 영어 강의를 하고 수시로 찾아오는 외국인 환자를 위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런 욤비도 2008년 난민 인정을 받기까지 고된 육체노동과 정신적 불안감 속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다. 2002년 한국에 들어와 난민 신청을 한 욤비는 6년간 수차례 쓴맛을 봤다. 콩고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갖고 국가정보기관 요원으로 일했던 그였지만 정식 난민 인정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었다. 6년간 사료공장, 제지공장 등에서 불법 취업을 하면서 어렵게 생활했다.

●내 이름은 ‘김창원’

2003년 한국에 온 부룬디 출신의 버징고 도나티엔(33)의 또 다른 이름은 ‘김창원’이다. 2005년 6월 난민 인정을 받은 뒤 내친 김에 귀화신청까지 한 그는 지난해 11월 귀화시험에 합격해 어엿한 한국사람이 됐다. 자신이 살고 있던 지역의 이름을 딴 ‘창원 김씨’의 시조가 됐다. 그는 요즘 낮에는 창원국가산업단지 내의 자동차부품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경남대에서 공부하는 등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부룬디대학에서 마라톤 선수로 활동했던 그는 한국에서도 전국 마라톤 대회를 휩쓰는 마라토너로 유명하다.

그는 “나도 난민 인정을 받기 전까지는 인쇄소와 카메라 공장 등에서 중노동을 하며 어려운 시간을 보내야 했다.”면서 “난민으로 인정받고 국적까지 딴 한국에서 회사, 학교, 마라톤 등 모든 것을 열심히 하는 한국사람이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6-20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