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 광림사… 조선시대 오정사… 1200년만에 빛 보다

통일신라 광림사… 조선시대 오정사… 1200년만에 빛 보다

입력 2011-04-22 00:00
업데이트 2011-04-22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00년 동안 땅속에 묻힌 채, 역사가 놓쳐 왔던 절의 실체가 확인됐다. 조선시대의 사찰로 전해지는 오정사(烏井寺) 터와 함께 그 아래쪽에서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는 절 광림사(廣林寺) 터가 발견됐다.

이미지 확대
국군체육부대가 이전하는 경북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445 일대 광림사 터에서 나온 7점의 금동불상 모습.  영남문화재연구원 제공
국군체육부대가 이전하는 경북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445 일대 광림사 터에서 나온 7점의 금동불상 모습.
영남문화재연구원 제공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영남문화재연구원은 21일 “국군체육부대가 이전하는 경북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445 일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이후부터 고려시대 중·후기까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절터에서 적심건물터 9동, 축대시설 6기, 부속시설 8기 등을 발굴했다.”면서 “이와 함께 거의 완벽하게 형체를 보존하고 있는 통일신라시대 금동여래입상 4점과 금동보살입살 1점 등 7점과 ‘광림사부’(廣林寺付)라고 적힌 기와가 여러 점 확인됐다.”고 밝혔다.

광림사는 적심건물터의 층위 양상과 금동불상, 통일신라시대 연화문수막새, 고려시대 귀목문수막새 등을 통해 볼 때, ‘오정사 터’보다 훨씬 앞선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금동불상 7점은 모두 광림사의 대웅전 터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 적심건물지 2호 내부에서 수습됐다. 금동여래입상 4점과 금동보살입상 1점은 부식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나머지 2점은 훼손이 심해 형태를 추정하기 힘든 상태다. 불상 중 가장 큰 것이 높이 19㎝이고 대부분 12~17㎝ 크기다.

오정사 또한 해동지도(海東地圖), 광흥도(廣興圖) 등 조선시대 고지도 등에서, 그리고 서거정(1420~1488)과 김종직(1431~1492)의 시조 등을 통해 조선후기에 존재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실체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한도식 책임조사원은 “오정사의 구체적 실체를 밝혔다는 점에서 발굴 조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채집된 유물에 대한 편년이므로 연도 자체는 부정확할 수 있고 더욱 자세한 유구 조사가 필요하긴 하지만 일단 광림사는 1200년 전의 사찰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그는 “한두 점 출토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렇게 무더기로 나온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면서 “금동불상 역시 한국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4-22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