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 더 커지는 농협] 농협 “22일까지 복구 마칠 것”

[의혹 더 커지는 농협] 농협 “22일까지 복구 마칠 것”

입력 2011-04-19 00:00
업데이트 2011-04-1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업 데이터 검증단계” 밝혀…전문가들은 완전복구 회의적

농협이 ‘전산망 마비 사태’ 발생 11일째인 오는 22일까지 대고객 업무 복구를 마치겠다고 18일 밝혔다. 하지만 신용카드 등 고객 거래 내역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확인돼 완전 복구가 가능할지 회의적인 시각도 없지 않다.

이미지 확대
금감원 특별검사 착수
금감원 특별검사 착수 금융감독원 관계자들이 농협 전산망에 대한 특별검사를 위해 18일 오전 서울 양재동 농협 IT본부 분사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관 농협중앙회 전무는 “대고객 업무는 대부분 복구가 완료됐으며, 카드 고객정보 원장도 복구가 완료돼 정상화됐다.”면서 “18일 오전 10시 현재 카드 업무는 거의 복구했고 가맹점 대금입금 업무와 채움카드 발급 및 재발급 등 일부 업무를 복구 중에 있으며, 지금 추세라면 오는 22일까지 대고객 업무는 복구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전무는 복구 지연과 관련해 “장애 시스템 정상화 중 거래 내역의 일부 손실이 확인돼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 복원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백업데이터 어느 부분이 비고 어느 부분에서 찾을 수 있는지를 파악했으며, 지금은 데이터 검증 단계”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전산 장애가 발생한 지 7일째가 되도록 농협 측이 훼손된 거래 내역을 완전히 복구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100% 완전복구는 물 건너간 게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했다. IT 업계 관계자는 “삭제된 파일도 대부분 살려내는 IT 기술을 감안할 때 이 정도 시간이 지나도록 복구를 못하고 있는 것은 전산 장애 이전 상태로 완벽하게 복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음을 반증하는 예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농협 측은 이에 대해 “거래 내역에 대한 완전 복구는 가능하며, 다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게 문제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번에 유실된 일부 거래 내역은 거래 후 ‘원장’에 보관되기 이전에 서버에 임시 보관됐던 ‘간이 원장’의 거래 내역이기 때문에 ‘원장’과 실제 거래가 이뤄진 상대편의 자료를 비교하면 원상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경두·홍희경기자 golders@seoul.co.kr
2011-04-19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