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방사능 공포] “외출이 두려워” “저녁 약속 어떡해”

[日 방사능 공포] “외출이 두려워” “저녁 약속 어떡해”

입력 2011-04-07 00:00
업데이트 2011-04-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들 불안 고조

“외출하기가 두려워요.” “저녁 약속을 취소해야 하는 건지….”

독일 등 외국 기상청들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누출된 방사성물질의 한반도 유입 관측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시민들의 불안감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확도가 떨어져 예측 결과가 뒤집히기 일쑤인 데다 부풀려진 내용들이 인터넷 등을 타고 급속히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기상 당국이 이런 오류를 명쾌하게 바로잡지 못하면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회사원 최모(33)씨는 매일 자전거로 하던 출퇴근을 6일부터 중단했다. 최씨는 “인터넷에서 방사성물질이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고, 7일에는 한층 농도가 짙은 방사능비가 내린다는 글을 봤다.”면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하지만 당분간 자전거 출퇴근을 하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등 선진국 기상청의 전망이 국내 기상청보다 더 정확할 것이라고 믿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다. 회사원 김모(35·여)씨는 “우리 기상청에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하지만 인터넷에 떠 있는 독일 기상청의 전망은 다르다.”며 기상청 정보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주부 유모(61)씨는 “일본 후쿠시마에서 유출된 방사성물질이 태평양으로 날아갔다가 3~4일 만에 다시 우리나라로 유입된다는 말을 들었고, 그 예측이 잘못됐다는 이야기도 들었다.”면서 “솔직히 양쪽 다 못 믿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독일·프랑스의 방사능 확산 예보 모델이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나치게 시간을 앞서 예측해 시시각각 변하는 대기의 흐름을 정확히 잡아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히 초기 방사성물질량을 높게 잡은 측면이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기상청 관계자는 “독일 기상청이 ‘한반도 직접 유입 가능성’을 예보한 뒤 불과 몇 시간 만에 이를 철회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면서 “유럽의 경우 방사성물질이 도달하는 데 최소 일주일은 걸리기 때문에 예측 시간을 길게 잡고 있어 그만큼 신뢰도가 낮다.”고 말했다. 기상분석 전문업체인 해양기상기술 임효혁 대표이사도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기상 선진국의 경우에도 현재 기술로 ‘48시간 전 예보 모델’이 가장 정확하다. 그보다 앞서 예측하는 모델은 신뢰하기 힘들다.”면서 “기류가 매시간 변해 예측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4-07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