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사성 물질, 7일 남서풍 타고 한반도 유입될 듯

일본 방사성 물질, 7일 남서풍 타고 한반도 유입될 듯

입력 2011-04-04 00:00
업데이트 2011-04-04 1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성 물질이 남서풍을 타고 한반도에 올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측은 남서풍을 타고 오는 방사성 물질의 양도 극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아무리 미량이라도 방사성 물질이 있는 만큼 비를 직접 맞는 것은 좋지 않다고 덧붙였했다.

 윤철호 KINS 원장은 4일 브리핑을 통해 “7일쯤 방사성 물질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남쪽으로 내려갔다가 한반도로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그 양은 여전히 인체에 영향 없을 정도로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도 “7일 오전 일본 지역을 중심으로 고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지상 1~3㎞ 높이의 중층 기류는 일본 동쪽에서 동중국해를 거쳐 시계방향으로 돌아 우리나라에 남서풍 형태로 유입되고 상당한 양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방사성 물질이 온다고 해도 지금까지처럼 극미량이라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우리나라 쪽으로 부는 흐름이 있다고 해도, 후쿠시마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은 주변 지역에서도 그 농도가 점점 옅어지고 있는 만큼, 역시 우리나라에 들어오더라도 미미한 수준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 2호기의 원자로 내부 물질의 상당량이 유출돼 곧장 우리나라를 향해 날아와도 우리 국민이 받는 영향은 연간 허용 방사선량(1m㏜)의 3분의 1 수준인 0.3m㏜에 불과하다는 분석 결과를 다시 강조했다. 윤 원장은 “바람으로 인한 방사성 물질 보다는 일본 후쿠시마 현지에서 바다쪽으로 나간 방사선 물질이 더 많다.”면서 “이에 따라 한반도 연근해의 해수와 해양생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도 실시해 10일쯤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평소에는 흙먼지나 대기오염 물질 등 때문이라도 당연히 비는 굳이 맞지 않는 것이 좋다.”면서 “이번에는 여기에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더해져 비를 맞는 것은 더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전국 23개 수돗물에서는 인공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KINS는 매 주 2회 수돗물을 채취, 방사성 물질 검사를 할 예정이다.

 하지만 공기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에서는 12개 지방측정소 모두에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방사선량은 0.121~0.636m㏃/㎥로 최고 농도를 연간 피폭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0.0000613m㏜수준이다. X-선 촬영 때 받는 양(약 0.1m㏜)의 1600분의 1수준이다. 3일 부산 등 전국 7개 지역에서 채취한 빗물에서도 0.106~1.06㏃/ℓ의 방사성 요오드가 나왔다. 방사성 세슘도 서울·춘천·대전·군산·대구·수원·청주 등 7곳에서 발견됐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