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꺼이 돕는다며 달랑 구조견 두 마리 보낸 이유

기꺼이 돕는다며 달랑 구조견 두 마리 보낸 이유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왕 도울 거라면 팍팍 도왔으면 좋겠다. 실력 최고라는 우리나라 구조대도, 구조견도 많이 보내고.”

 한 트위터 이용자가 14일 오전에 올린 글이다. 엄청난 참극을 겪고 있는 이웃을 돕기 위해 파견한 구조대 규모, 특히 인명 구조견 숫자가 부족한 것 아니냐고 인터넷에서 말들이 적지 않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2개팀 144명과 구조견 12마리, 독일은 43명과 구조견 3마리, 멕시코는 12명과 구조견 6마리, 프랑스는 100명을 파견하기로 했는데 가장 가까운 한국이 107명과 2마리를 파견한 것은 너무 적지 않느냐는 얘기다.

 하지만 세계 최고의 기량을 뽐내는 중앙119구조대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구조견은 2마리뿐이어서 더 보내려야 보낼 수가 없다. 오승훈 중앙119구조대 첨단팀장은 “9개 시·도가 따로 보유한 구조견은 15마리이지만 이들은 상시적으로 건강 검진, 예방 접종 등 사전 준비가 돼 있지 않아 해외에 파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 1998년부터 전국에서 관리, 운용하는 구조견은 36마리. 모두 삼성생명 구조견센터(현재는 삼성 에버랜드로 이관)로부터 기증받아 재난 현장에 투입해 왔다. 보통 3~4년의 양성 훈련을 거친 공인견을 기증받아 훈련사(핸들러)와 1년 동안 1대1 매칭 훈련을 거쳐 10마리 중 2~3마리만 구조견 지위를 얻는다. 구조견 한 마리가 실종·조난 현장에서 수색대원 2만명 역할을 한다는 얘기는 이런 엄격한 선발 과정 때문이다.

 따라서 제대로 훈련된 구조견을 내놓는 데 4년 이상이 걸리고 마리당 1억 5000만~2억원이 든다.

 그런데 경찰견, 마약탐지견, 폭발물탐지견 등이 경찰, 관세청, 군 전담센터 등을 통해 길러지는 것과 달리 소중한 인명을 구조해야 하는 구조견 양성은 민간기업에만 손을 벌려왔던 것이다.

 그나마 지난해 10월부터 에버랜드가 시각장애인 인도견 양성에만 전념하고 무상 기증을 끊기로 해 중앙119구조대는 훈련 시설과 견사 등을 구축해야 했지만 예산 확보가 여의치 않아 늦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달 말에야 훈련사 4명을 채용하고 에버랜드로부터 11마리를 마지막으로 기증받아 본격적인 매칭 훈련에 들어갈 계획이다.

 오 팀장은 “공인견의 훈련 정도에 따라 현장 투입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르다.”며 “올해는 우선 가장 자질이 뛰어난 4마리를 집중 훈련하고 순차적으로 구조견을 현장에 추가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병선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