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플러스]

[환경플러스]

입력 2011-02-07 00:00
업데이트 2011-0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학물질정보 포털시스템 서비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화학물질 관련 홈페이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화학물질정보 포털(ncis.nier.go.kr)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화학물질 정보시스템, 신규화학물질 유해성 심사, 유독물 분류·표시 지원시스템,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 배출량 조사 지원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 화학물질에 얽힌 이야기와 새로운 정보도 쉽게 풀어 제공한다.

특히 지금까지는 유해 화학물질만 한글 검색이 가능했지만 자주 접하는 일반 화학물질도 한글 검색이 가능하도록 영역을 넓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유럽연합을 비롯해 세계 각국이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수출·수입에 따른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포털 서비스를 통해 화학물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온실가스 사전환경성검토에 포함

환경영향평가 때 온실가스 저감목표 설정과 저감목표 이행에 대한 사후관리가 강화된다. 환경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온실가스 환경평가 가이드라인’을 개정해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각종 개발사업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10~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사전환경성검토 단계에서 온실가스 영향에 대한 정량적 검토를 실시하지 않았다.

앞으로는 환경영향평가 대상 규모의 개발사업이 포함된 행정계획은 사전환경성검토 단계부터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평가해 온실가스 저감전략을 반영하게 된다. 온실가스 배출영향 분석 시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영향 외에 산지나 녹지 등의 온실가스 흡수·저장 기능 훼손여부도 평가 범위에 포함된다.

●환경오염원 추적 과학 수사기법 도입

오염원 원인 추적조사에 환경과학 수사기법이 도입된다. 지금까지 환경오염 조사는 ‘어디에, 어느 정도’의 오염물질이 있는지에 중점을 둬 정확한 오염원인과 책임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과학원은 앞으로 환경오염과 환경보건조사에 법의학적 수사기법을 접목시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까지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안정동위원소 질량분석기 등 첨단 분석장비(10억원 상당)를 들여올 계획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폐광·제련소 등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에 대한 건강피해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국가·지역간 환경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1-02-07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