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영풍교 준설토 실은 트럭 통행금지”

경북도 “영풍교 준설토 실은 트럭 통행금지”

입력 2010-11-17 00:00
업데이트 2010-11-17 09: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밀진단 시간상 불가능…자치단체 관리 방치

 경북 문경과 예천을 잇는 영풍교 위로 낙동강 정비사업에 투입된 덤프트럭이 통과하중 안팎의 상태에서 지나다녔다는 보도와 관련해 경북도가 안전진단을 하지 않는 대신 영풍교에 준설토를 실은 덤프트럭의 이동을 금지하기로 했다.

 경북도 낙동강사업팀 주봉근 사업3담당은 17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군부대로부터 안전진단을 의뢰받았지만 정밀진단을 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다 마쳤을 때면 사업이 이미 끝났을 수도 있다”며 “현실적으로 정말안전진단은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주 담당은 “대신 준설토를 실은 차는 다니지 않도록 조치했고 빈차만 다닐 수 있도록 했다”면서 “공사를 맡은 청강부대가 통과하중에 맞춰서 다녔는데 주민들이 우려하는 만큼 돈이 더 들더라도 다리를 건너지 않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와 청강부대는 12월 중순께 영풍교 아래에 공사용 임시다리를 만들어 준설토를 실은 덤프트럭이 다닐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낙동강을 사이에 둔 문경시 영순면과 예천군 풍양면을 잇는 영풍교는 1987년 완공된 왕복 2차로의 다리로 7년 전인 2003년 10월부터 통과하중이 25.9t으로 제한됐을 만큼 낡았고,2005년 안전진단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아 긴급 보수공사까지 진행됐다.

 올해 들어서는 낙동강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공사에 투입된 청강부대 덤프트럭이 하루에 450회 정도 영순면에서 퍼낸 흙을 싣고 통과 한계치에 가까운 상태에서 영풍교를 건너 풍양면으로 옮기면서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하지만 영풍교를 관리해야 할 지방자치단체는 그동안 통과하중 조차 제대로 모른 채 방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북도는 지방도 923호 구간에 놓인 영풍교가 낡아 안전진단을 거쳐 경북지사와 경북지방경찰청장 명의로 2003년 총중량 25.9t 이상인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기로 했고,영풍교 앞에 안내판까지 세워놓았다.

 그러나 이달 초 영풍교의 통과하중을 묻는 질문에 경북도 종합건설사업소측은 32.4t,문경시는 43.2t이라고 답해 현황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 때문에 경북도나 문경시는 영풍교 위로 통과하중 안팎의 건설장비가 하루에도 수백회 지나다닐 동안 아무런 단속을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 종합건설사업소 관계자는 “처음에 잘못 알았고 다시 확인했더니 25.9t이었다”고 말했고,문경시 관계자는 “문경시가 단속을 맡는 것이 맞지만 인력이나 장비에 한계가 있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