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 인구 2028년 200만명 돌파 예상

서울 노인 인구 2028년 200만명 돌파 예상

입력 2010-09-28 00:00
업데이트 2010-09-28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노인 인구가 2012년 100만명을 넘어서고 2028년에는 2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8일 e-서울통계 제39호를 통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6월 말 기준 96만6천여명으로 전체 서울인구의 9.3%를 차지했으며,2012년에는 노인 비율이 10.3%에 달하고 2028년에는 20%를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반면 생산가능 인구인 15∼64세는 계속 감소해 현재 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지만 2027년에는 3명이 책임져야 할 전망이다.

 노인 가구주도 올해 52만7천가구(14.8%)에서 2030년에는 115만7천가구(29.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의 홀몸노인은 19만9천559명이고 이 중 14만2천116명(71.2%)이 여성이다.

 10만명 당 노인 사망자 수는 2천768.6명으로 2000년의 4천72.7명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노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고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까지 합쳐 3대 질병으로 인한 사망의 비중이 49.3%에 달했다.

 2000년에 비하면 뇌혈관질환이 10만명 당 708.4명에서 331.4명으로 줄어드는 등 3대 질병은 감소했지만 자살은 25.4명에서 63.3명,알츠하이머는 6.6명에서 28.2명으로 급증했다.

 65세 이상 노인의 59.0%는 직장이나 노인정 등 모임이 있다고 답했고,이런 경우 사회생활 만족도가 평균 7.0점 높았다.

 지난해 60세 이상 노인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난(44.5%)을 꼽았고 이어 건강(31.0%),소일거리 없음(7.1%) 등 순이었다.

 지난해 노인 취업자는 41만3천명으로 전체 취업자 중 8.5%에 불과했다.

 본인과 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하는 노인은 61.3%,자녀와 친척 지원은 29.8%,정부와 사회단체 지원은 8.7%였다.

 2005년에 비하면 본인 부담은 3.3%포인트,정부 지원은 5.9%포인트 높아졌지만 자녀와 친척 지원은 8.9%포인트 하락했다.

 60세 이상 노인 중 40.1%는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데,이는 불과 2년 전에 비해 15.8%포인트나 줄어든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