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의원부인 사찰 전모] 총리실 외부망 전산자료 복원 실패

[남경필 의원부인 사찰 전모] 총리실 외부망 전산자료 복원 실패

입력 2010-08-05 00:00
업데이트 2010-08-0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간인 불법 사찰’의 ‘윗선’ 개입 여부를 확인시켜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외부망 전산자료’ 복원 작업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윗선’으로 지목된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에 대한 소환도 불투명해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비선 메신저’ 의혹을 받고 있는 진경락 기획총괄과장을 재소환할 방침이다.

4일 검찰에 따르면 민간인 불법 사찰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오정돈 부장검사)은 앞서 지난달 9일 지원관실에서 압수한 전산자료 중 외부망의 복원 작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검찰 관계자는 “전산자료를 제조사 측에 맡겨 일부 자료는 복원했으나 의미 있는 증거는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압수한 자료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는 물론 제조사에서도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로 많이 훼손돼 있었다. 이에 검찰은 민간인 사찰과 관련된 결정적 증거를 담고 있는 전산자료를 훼손하도록 지시한 인물을 사건 배후로 보고, 누가 어떤 이유로 이를 훼손케 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캐고 있다. 앞서 검찰은 압수한 전산자료 중 ‘내부망 자료’를 복원해 민간인 사찰의 대상과 범위, 내부 보고체계 등을 확인했었다.<서울신문 2010년 7월27일 자 1면> 검찰은 이어 외부망이 복원되면 윗선 개입의 ‘결정적 증거’를 찾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복원이 끝나는 대로 이 전 비서관을 소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외부망 복원에 실패하면서 물증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에 검찰은 진 과장을 추가 소환해 이 전 비서관의 혐의를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물증 없이 총리실 직원의 진술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사건의 몸통인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에 대한 구속수사 만료일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윗선’은커녕 본류 수사도 마무리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8-05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