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보도 그후] 국어대사전 ‘맥’잇기 정부가 나섰다

[서울신문 보도 그후] 국어대사전 ‘맥’잇기 정부가 나섰다

입력 2010-05-11 00:00
업데이트 2010-05-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월16일자 1면>

정부가 종이사전 제작 노하우를 적극 채취하고 나섰다. 국내 사전제작 전문가들이 20~30명밖에 남지 않아 이대로라면 종이사전의 맥이 끊길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서울신문 2월16일자 1면>이 자극제가 됐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서울신문의 문제제기 직후인 지난 3월 국어대사전 제작 전문가 심층 인터뷰에 들어갔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을 편찬한 조재수 겨레말큰사전 남측편찬위원장, 이희승 국어대사전을 만든 윤차현 민중서림 상무, 금성출판사 국어대사전을 만든 안상순 전 사전팀장, 두산동아의 국어새사전을 만든 서덕수 전 편찬주간, 한플러스 국어대사전을 편찬한 남영신 국어문화운동본부 이사장 등 5명이다.

국사편찬위는 이들을 직접 만나 구체적인 사전 제작 기술과 관련 경험을 구술받아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새달에는 사전에만 쓰이는 활자체, 약물, 인쇄, 제본 작업을 직접 진행한 기술자들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경험과 기술 전수 여부도 조사해 기록할 계획이다. 정부 소속기관인 국사편찬위가 이 같은 작업에 나선 이유는 간단하다. 국어대사전 편찬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들이 몇 명 남지 않은 때문이다. 사전 노하우를 갖고 있는 마지막 세대다. 국사편찬위 연구용역을 받아 국어대사전 편찬인 조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김양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연구교수는 10일 “지금 기록으로 남기지 않으면 영원히 없어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작업”이라고 전했다.

인터뷰를 통해 얻은 동영상, 음성 녹음 파일, 녹취록 등은 정리기간을 거쳐 연말쯤 홈페이지(www.history.go.kr)에 공개할 예정이다. 학술적 가치가 높은 자료들은 따로 뽑아 구술 자료선집도 발행한다.

김득중 국사편찬위 편사연구사는 “기존 문헌 사료에 기록하지 못한 사실, 경험 등을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미와 함께 사전 편찬자들의 삶 자체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40만 어휘 이상의 국어대사전을 만드는 데는 10년이 넘는 시간과 수십억원에 이르는 비용이 요구된다. 민간 영역에서 선뜻 나서기 어려운 이유다. 김 교수는 “사전제작의 마지막 세대가 남아 있는 지금이 민족문화의 보고(寶庫)이자 사회적 자산인 국어대사전을 후대에 제대로 넘겨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 동참을 주문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11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