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공모제 ‘양극화’ 현실로

교장공모제 ‘양극화’ 현실로

입력 2010-05-08 00:00
업데이트 2010-05-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장 공모제가 시행 3년째를 맞았지만 여전히 겉돌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올초 업무보고에서 교장 공모제의 경쟁률을 10대1 이상으로 맞추겠다고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교장 공모제는 각종 학내 비리를 차단하고 능력있는 인사를 교장으로 선발하기 위해 교과부가 2007년부터 의욕적으로 도입했다. 하지만 지원자들이 인기가 없는 학교에 대한 지원을 꺼리면서 도입 취지가 무색해졌다.

7일 교과부에 따르면 6일 현재 접수를 마감한 결과 6명을 공모제로 선발하는 울산은 29명이 지원해 평균 4.8대1을, 36명을 뽑는 전북에는 175명이 진원해 4.9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인천·대전·충남도 이와 비슷한 지원률을 보였다. 교과부가 올 초 예상한 경쟁률인 10대 1의 절반에도 이르지 못했다.

실례로 전북의 초등학교 3곳은 1명만 교장 공모제에 응해 지원율이 1대1에 그쳤다. 반면 충남 공주의 A중학교는 1명 모집에 18명의 지원자가 몰려 경쟁률이 18대1을 기록했고, 전북 전주의 B중학교도 10명이 몰려 1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교장 지원율 양극화에 대해 충남교육청 관계자는 “대도시의 잘나가는 학교에는 지원자들이 몰리면 반면 학교 명성이 알려지지 않은 비인문계 학교나 농·산·어촌 등 이른바 비인기지역 학교는 지원자가 없었다.”고 말했다.

지역교육청 한 인사담당자는 “지역을 대표하는 명문학교에서 경력을 쌓으려는 심리가 작용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실력대로 교장을 뽑는다고 하지만 ‘나이 어린 후배가 선배를 몰아낸다.’는 비난을 의식해 일부러 교장 지원을 포기한 예도 있다.”고 귀띔했다.

일각에선 교장 공모제의 양극화가 예견된 졸속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올 초 교과부가 학교 비리 근절 방안으로 청와대 업무보고를 하면서 전국 국·공립 학교의 50%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지원자 기준을 교장자격증 소지자로 제한하는 바람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자 교과부는 교장 공모 양극화 해소 방안으로 올해 8월까지 교장자격취득 예정자를 1000명 늘려 경쟁률을 10대1로 맞추겠다고 설익은 정책을 발표했다.

교과부는 “지역별 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정년에 맞춰 교장이 되기 위해 일부러 지원을 기피한 것으로 안다.”면서 “경쟁률이 떨어지는 일부 학교에 대해서는 재공모 절차를 밟겠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5-08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