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반장선거에도 ‘사교육’ 성행

초등학교 반장선거에도 ‘사교육’ 성행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학기를 맞아 진행된 초등학교의 반장 선거와 전체 회장 선거 과정에서 당선을 돕는 사교육 전문업체가 인기를 끌었다.

‘반장 선거 대비반’을 개설하는 스피치 학원이 늘고 있으며, 학생회장 선거를 돕는 맞춤형 개인과외도 등장했다.

최근 국제중ㆍ특목고ㆍ대학교에 이르기까지 입학사정관 전형이 크게 늘며 학교 임원 경험을 중요한 ‘스펙’으로 여기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분장ㆍ마술까지 준비..과외 한번에 10만~20만원

3월 새 학기를 맞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는 반장ㆍ학생회장이 되고 싶은 학생들로 선거 분위기가 뜨거웠다.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강모(33.여)씨는 “저학년 학급에서는 30명 정원에 10명 정도가 반장선거에 나오는 등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선거 열풍을 타고 강남, 목동, 분당 등 교육열이 높은 지역에서는 선거유세 리허설, 연설문 교정, 호소력 있는 연설 기술 등을 지도하는 ‘회장되기 반’이 학원가에서 성업 중이다. 이들 업체는 목소리 톤이나 연설문 사이에 들어가는 행동까지 알려준다.

서울 강남의 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김모(34.여)씨는 “반장 선거에 완벽하게 준비된 연설문과 동작, 소품까지 준비해 와서 깜짝 놀랐다”며 “일주일 전부터, 혹은 방학 때부터 학원을 다니며 준비한다”고 전했다.

같은 학교에 4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도모(42)씨는 “작년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교복을 똑같이 구해 입었던 아이가 몰표로 반장에 당선됐다더라”고 말했다.

학교 임원 선거의 꽃인 학생회장 선거에는 더 철저한 대비를 하는데 주로 일대일 개인 과외가 이뤄진다. 강남 지역 쪽에만 3~4명 정도의 전문 강사들이 활동하는데, 학교별로 한 명씩의 후보만 받아 당선 비법을 전수한다.

연설문 준비와 유세 리허설은 기본, 짧은 시간 동안에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게 깜짝 ‘퍼포먼스’를 준비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퍼포먼스는 주로 인기 드라마 주인공이나 캐릭터로 분장하거나, 마술 쇼 등을 선보이는 식이다.

비용은 천차만별이지만 1회당 10만~20만 원 선이라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부산에서 회장선거 대비 전문 과외를 하는 A씨는 “학교 회장 준비는 기본 4~5회로 구성되고, 비용은 50만~60만 원 선”이라고 밝혔다.

강남 대치동에서 스피치 학원을 운영하는 B씨는 “회장선거 연설문 원고는 굉장한 아이디어 싸움으로 공이 많이 드는 창작물이기 때문에, 가격이 20만~30만 원 선으로 따로 책정된다”고 말했다.

손 글씨 디자인 전문업체도 선거가 있는 학기초마다 선거용 포스터와 피켓 주문이 넘쳐나 일 년 중 가장 바쁜 시기를 맞는다.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 손 글씨 업체 관계자는 “선거철만 되면 업무가 마비될 정도다. 초등학교 선거 때 일주일 동안 밤샘 작업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피켓엔 주로 유행어나 노래를 개사해서 넣는 등 재치있는 내용이 많다”며 “올해는 동계 올림픽이 있어, 김연아 선수나 금메달리스트를 빗댄 소갯글이 눈에 띈다”고 덧붙였다.



◇학생회장 = 국제중 합격?

업계 관계자들은 초등학교 내의 임원 선거 과열의 원인을 국제중ㆍ특목고ㆍ대학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에서 찾고 있다.

특히 특기ㆍ수상실적ㆍ경력 등 비교과 영역으로 평가ㆍ선발하는 국제중학교의 경우, 학생회장 경력에 가산점이 있다는 정보가 학부모들과 교사들 사이에 사실처럼 굳어지고 있다.

강남구 내의 S 초등학교의 교감은 “작년에 우리 학교에서 2명이 국제중인 대원중과 영훈중에 진학했는데 둘 다 전교회장 출신”이라며 “학부모 대부분이 전교회장 경력이 국제중 합격에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남구 내의 또 다른 A 초등학교 근무하는 교사 김모(34.여)씨는 “동료 교사들은 학생회장 경력에 당연히 가산점이 있다고 믿고 있다”며 “작년 학생회장도 국제중에 합격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국제중 측은 가산점이나 임원 경력이 당락을 가르는 중요 요소가 전혀 아니라는 태도이다.

영훈중학교 입학 관계자는 “지원하는 학생들의 80% 정도가 학급 임원이나 학생회장의 경험을 가진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임원 경험 자체에 가산점을 부여하거나 특별전형을 두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입학사정관 전형을 확대하는 대학 측에서도 스펙을 관리하는 연령대가 점점 내려가는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서강대 이욱연 입학처장은 “대학교 입시를 위해 고등학교에서 임원, 특목고 입시를 위해 중학교 임원, 특목중 입시를 위해 초등학교에서마저 임원 열풍이 부는 듯 하다”고 말했다.

그는 “’리더십 전형’에서의 ‘리더’의 의미가 학교 임원으로 한정되어선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