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길태 범행 결정적 단서는 매트 가방?

김길태 범행 결정적 단서는 매트 가방?

입력 2010-03-15 00:00
업데이트 2010-03-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에 검거된지 5일이 되도록 굳게 입을 닫았던 피의자 김길태(33)가 범행을 자백하게 된 것은 김 씨가 이 양을 살해한 뒤 시신을 운반하는데 썼던 매트용 가방이 결정적인 단서가 된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지난 6일 오후 9시20분께 물탱크 속에 있던 매트용 가방에 담긴 이 양의 시신을 찾아냈고 시신을 담았던 전기매트용 가방도 함께 발견했다.

☞[포토] 김길태, 살해 혐의 인정까지

이에따라 경찰은 시신유기에 사용된 매트용 가방을 결정적 단서로 보고 가방의 출처를 찾기위해 수사를 벌인 것으로 보인다. 시신이 발견된 집에서 10여 m 떨어진 빈 집(일명 무당집)에서 이 가방과 크기가 맞는 전기매트를 발견하고 이 곳을 무당집을 유력한 범행장소로 봤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경찰이 14일 오전 있었던 뇌파조사에서 매트사진을 김 씨에게 보여줬고 김 씨는 미미하나마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따라서 ‘최소한 김 씨가 이 매트를 본 적이 있다’고 판단, 사실상 범행장소로 무당집을 지목했을 개연성이 높다.

이에 따라 김 씨에 대한 거짓말탐지기 조사에서 이 양의 사망 추정장소 중 1곳을 찍은 사진을 보여줘 ‘현저하고 의미있는 수준의 거짓반응’을 얻었다고 경찰이 발표한 곳도 무당집일 가능성이 높다.

뇌파검사와 거짓말탐지기조사에서 무당집을 범행장소로 지목한 경찰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김 씨를 강하게 추궁, 범행 일부를 자백받았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시신을 유기하는데 썼던 매트용 가방 출처를 역추적해 김 씨를 압박, 범행 자백을 이끌어 냈다는 것이다.

경찰은 또 매트에서 김길태 씨의 것으로 보이는 체액이나 체모 등 증거물을 확보, DNA 검사 등을 통해 김씨의 DNA와 일치했음을 확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경찰은 이밖에 이 양의 집 내부 사진이나 시신을 일시적으로 옮겼던 부산 사상구 덕포동 217-3번지(일명 파란집), 시신이 담겨있던 물탱크가 있던 파란집 바로 옆 217-5번지 주택 등의 사진을 김 씨에게 보여줘 심리적 압박을 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경찰은 “시신을 운반하는데 쓰인 매트용 가방에서 결정적인 증거를 찾진 못했지만 범행장소를 역추적할 수 있는 단서가 됐다”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