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서동철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서동철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고양이 역사

    고양이 역사

    국사편찬위원회는 2008년부터 조선왕조실록을 서비스하고 있다. 검색어를 넣으면 한글번역문과 원문을 모두 볼 수 있다. 조정에서 이런 이야기도 오갔을까 싶은 내용도 있으니 재미있다.고양이도 그렇다. 실록에 129건이나 언급됐다. ‘고양이를 기르는 집에는 쥐가 마음대로 다니지 못한다’는 옛말이 자주 등장한다. 지방
  • 하야리아 부대와 부산콘서트홀

    하야리아 부대와 부산콘서트홀

    정명훈 부산콘서트홀 음악감독은 지난 2월 17일 언론 설명회를 가졌다. 2011석의 콘서트홀 내부를 처음 공개하는 자리였다. 그는 “음향은 말로 설명하느니 직접 들려 드리겠다”며 브람스의 간주곡을 연주했다. 그가 아름다운 파이프오르간을 배경으로 피아노를 치는 그림 같은 장면은 국제적 문화도시로 가고자 하는 부산의
  • 명사십리

    명사십리

    원산은 분단 이전에는 함경남도에 속했다. 1946년 북한의 강원도에 편입되면서 도청 소재지가 됐다. 원산이라면 명사십리(鳴沙十里)를 떠올리게 된다. 끝없이 펼쳐진 고운 모래밭에 부서지는 파도 소리를 상징하는 표현이다.원산은 북쪽에선 호도반도가, 남쪽에선 갈마반도가 각각 남북으로 길게 드리운 사이에 자리잡은 천혜의
  • 원주 여행

    원주 여행

    강원도 원주로 고속도로를 달린다. 문막의 막국수집은 새 건물을 지어 옮겼으니 시간이 적지 않게 흘렀음을 알겠다. 수수했던 막국수맛이 깔끔한 집으로 옮기면서 도시스러워진 것은 흥미로웠다. 옛 맛을 떠올리며 흠을 잡으려 했지만 맛이 없어진 것은 아니었다.목적지는 지광국사 현묘탑을 제자리로 옮겼다는 법천사 터다. 하지
  • 1500년 역사도시 세종

    1500년 역사도시 세종

    세종시의 나성동과 한솔동은 행정도시 남단에 해당한다. 나성동은 국세청, 인사혁신처, 소방청이 있는 정부세종2청사, 한솔동은 가장 먼저 조성된 주거단지인 첫마을이 각각 자리한 지역이다. 두 동네는 제천과 대교천이 금강으로 흘러드는 사각형 대지의 내부에 해당한다. 북서쪽을 제외하면 금강, 제천, 대교천이 세 방향에서
  • 통신사는 선진문화 전수단인가

    통신사는 선진문화 전수단인가

    조선이 일본에 보낸 통신사(通信使)를 두고 오늘날에는 ‘소통하며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사절단’이라 해석하곤 한다. 하지만 1429년(세종 11) 본격화된 당초의 통신사는 단순히 ‘국왕의 서신을 일본에 전하는 사행’이라는 의미를 넘어서지 않았다. 조선도 일본 쇼군의 사절단을 그저 무심하게 ‘국왕사’(國王使)라
  • 사진관 전성시대

    사진관 전성시대

    여권을 새로 내느라 동네 사진관에 갔다. 다음날 사진 속 내 얼굴은 민망할 만큼 젊어 보였다. 과학기술의 힘이라고나 할까. 여권 발급 창구 직원은 사진과 내 얼굴을 번갈아 보더니 “언제 찍으셨냐”고 물었다. “같은 사람 맞느냐”고 하지 않은 게 다행이었다.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사진관 전성시대’ 특별전의
  • ‘찐팬’의 수준

    ‘찐팬’의 수준

    지난해 한국을 찾은 영국의 음악 페스티벌 대표는 “우리 음악회에서는 악장 사이에 손뼉을 쳐도 괜찮다”고 말했다. 그는 “악장 사이 박수는 콘서트에 처음 온 사람이 있다는 신호”라며 “전통을 잘 모르는 이들이 다시 콘서트에 오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 보면 그의 설명은
  • 그랜드링과 에펠탑

    그랜드링과 에펠탑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가 열리고 있는 유메시마는 1988년부터 추진된 ‘테크노 포트 오사카’ 계획으로 만들어진 인공섬이다. 폐기물로 매립한 인공섬을 환경친화적 첨단 미래 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라고 한다. 같은 계획에 따라 조성된 마이시마·사키시마와는 다리로 이어져 있다. 마이시마는 오스트리아 건축가 훈데르
  • 연변 혹은 옌볜

    연변 혹은 옌볜

    해마다 4월이면 남해안 바닷가로 멸치를 먹으러 가던 친구들과 올해는 방향을 북쪽으로 돌렸다. 백두산 천지를 구경하기로 의기투합한 것이다. 백두산을 빙자해 연변 음식에 중국술을 곁들인다는 생각은 당연하게 마음속에 품고 있었다. 그런데 천지가 4월 하순에도 종종 눈에 파묻혀 오를 수 없다는 사실은 중국에 도착해서야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