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주 연속 ‘화상 다자외교’ 무대

文, 2주 연속 ‘화상 다자외교’ 무대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11-17 22:18
업데이트 2020-11-18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일 APEC 국가와 20년 미래비전 채택
21~22일 G20정상과 포스트 코로나 논의

이미지 확대
사회적 거리두기 국민협조 호소
사회적 거리두기 국민협조 호소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제57회 영상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1.5단계로 상향한 데 대해 국민 협조를 호소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0일부터 사흘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다자외교 무대에 나선다고 청와대가 17일 밝혔다. 지난 12~15일 아세안 관련 5개 정상회의에 이어 화상 연결로 이뤄지는 다자회의에 2주 연속 참석하는 것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20일 밤 화상으로 열리는 APEC의 주제는 ‘공동번영의 회복력 있는 미래를 향한 인적 잠재력의 최적화’”라면서 “21개 회원국들은 코로나 대응 논의와 함께 향후 20년간 APEC의 장기 목표가 될 ‘미래 비전’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한국의 코로나 방역 경험을 공유하고 인도적 지원과 치료제·백신 개발 노력 등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를 소개한다. 또 세계 공급망 유지 및 디지털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정부의 사회안전망 강화 노력을 포용성 강화를 위한 사례로 제시할 계획이다.

21~22일 열리는 G20 정상회의 주제는 ‘모두를 향한 21세기 기회 실현’이다. 회원국들은 코로나 극복 및 미래 감염병 대비 역량 제고 방안과 함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만들기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문 대통령은 필수 인력의 국경 간 이동 등 코로나 대응을 위한 공조 강화를 강조하고 한국의 그린·디지털 뉴딜 정책을 소개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에서 G20의 선도적 역할을 제안할 계획이다.

강 대변인은 “세계 인구의 3분의2, 국내총생산(GDP)의 80%를 차지하는 G20이 연대와 협력을 바탕으로 코로나를 극복하고 세계경제 회복에 앞장서고 있음을 재확인하는 기회”라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0-11-18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