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의 우연, 운명이 되다

세 번의 우연, 운명이 되다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7-04-27 20:46
업데이트 2017-04-28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승민 후보와의 인연

둘의 은사님 집에서 처음…TV프로 원고 조언받다 한 번…서울대 미팅 갔다 또 한 번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유승민(오른쪽) 바른정당 대선 후보와 부인 오선혜씨가 신혼여행에서 돌아온 뒤 유 후보의 본가에서 다시 전통혼례를 치르는 모습. 오선혜씨 제공
유승민(오른쪽) 바른정당 대선 후보와 부인 오선혜씨가 신혼여행에서 돌아온 뒤 유 후보의 본가에서 다시 전통혼례를 치르는 모습.
오선혜씨 제공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 후보의 부인인 오선혜씨는 지금을 있게 해 준 41년 전의 ‘만남’을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었다. 세 번의 우연이 반복되면서 이어진 만남이 두 사람의 운명을 만들었다고 오씨는 말했다.

●강형 前 교수가 두사람의 연결고리
1981년 10월 유 후보와 오씨가 신혼여행으로 경주 불국사를 찾아 다정한 자세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오선혜씨 제공
1981년 10월 유 후보와 오씨가 신혼여행으로 경주 불국사를 찾아 다정한 자세로 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오선혜씨 제공
유 후보와 오씨의 연결고리는 바로 은사인 강형 전 대구한의대 교수다. 1969~1975년 경북고에서 영어를 가르쳤던 강 전 교수는 1975년 유 후보의 담임이었다. 다음해엔 강 전 교수가 경북여고로 전근을 갔고, 경북여고 3학년인 오씨를 가르쳤다. 그해 4·19혁명 기념일 즈음 휴교령이 내려 대구에 머물던 유 후보가 강 전 교수의 자택을 방문했는데 마침 오씨가 영어 공부를 하고 있다가 마주친 게 이들의 첫 번째 만남이다.
1994년 딸 담씨가 태어난 뒤 아들 훈동씨와 다 함께 찍은 유 후보의 가족사진.  유승민 후보실 제공
1994년 딸 담씨가 태어난 뒤 아들 훈동씨와 다 함께 찍은 유 후보의 가족사진.
유승민 후보실 제공
두 번째 만남도 우연이었다. TBC ‘푸른광장’이라는 여고 탐방 프로그램에 오씨가 학교를 소개하는 출연자로 뽑혔다. 주어진 주제를 갖고 발표를 해야 해서 원고가 필요했다. 막막했던 오씨는 강 전 교수에게 조언을 요청했고, 이 부탁은 마침 학교를 쉬고 있던 유 후보에게 전해졌다. 주제가 바로 ‘만남’이었다.

유 후보가 원고를 다 쓰자 강 전 교수는 오씨에게 직접 전해 주라고 했다. 독서실에서 공부만 하던 오씨와 친구들은 “대학생 오빠가 온다는데 아이스크림이라도 사 달라고 하자”며 키득거렸다. 유 후보도 친구 두 명을 데리고 와 함께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얘기를 나눴다고 한다. 오씨는 “며칠 뒤 유 후보가 강 전 교수에게 ‘그 여학생의 순수하고 발랄함이 마음에 든다’는 편지까지 썼을 정도로 그 시간이 좋았었나 보다”라고 회상했다. 하지만 오씨가 수험생이어서 연락을 하거나 따로 만나지는 않았다.
지난 2월 9일 오씨의 생일을 축하해 주고 있는 유 후보의 모습.  오선혜씨 제공
지난 2월 9일 오씨의 생일을 축하해 주고 있는 유 후보의 모습.
오선혜씨 제공
1977년 오씨는 이화여대 수학과에 입학했다. 어느 날 기숙사 선배 언니들이 신입생들을 위해 미팅을 주선했고, 이대생 4명과 서울대 공대생 4명이 만나 서울대 관악캠퍼스를 거닐었다. 그런데 갑자기 오씨의 눈에 저 멀리서 슬리퍼를 찍찍 끌고 오는 남자가 눈에 띄었다. 그게 바로 유 후보였다. 세 번째 만남에 오씨는 “이렇게 우연한 만남이 계속되는 게 필연이자 운명 같았다”고 말했다.

●장가 안 가겠다던 劉, 스물넷에 1등 결혼

‘경상도 사나이’ 유승민은 고등학생일 때 친구들에게 “절대 결혼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큰소리를 쳤다고 한다. 그런데 오씨를 만나고 가장 먼저 결혼을 했다. 오씨가 대학을 졸업한 해인 1981년 10월 3일. 당시 유 후보가 24살, 오씨는 23살이었다. 다정다감하고 남자들 사이에서 의리로 인정받는 유 후보를 보고 “평생 믿고 모든 걸 맡길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36년이 지난 지금까지 오씨는 유 후보를 믿고 지켜 주는 가장 든든한 동반자가 됐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17-04-28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