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代이은 우호” 김정은 체제 묵시적 인정

“代이은 우호” 김정은 체제 묵시적 인정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협 구체화 물밑합의 가능성

북한과 중국 언론들에 따르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여러 차례 ‘선배 지도자들이 만든 전통’이라는 말을 꺼내들며 중국 최고지도부를 상대로 북·중 우호관계의 ‘대를 이은 계승’을 강조했다. 이번 방중의 주요 목적이 3남인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의 후계구도에 대한 지원을 받아내기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시인한 셈이다.

이미지 확대


김 위원장은 후진타오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양국 국민 간의 우의를 대를 이어 전승하는 것은 중대한 역사적 사명”이라면서 “함께 노력해 양국 선배 지도자들이 남겨준 이같은 중요한 유산인 북·중 우의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자.”고 말했다. 직접 김 부위원장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자신의 후계자와도 지속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해 나갔으면 좋겠다는 얘기다. 후 주석의 반응과 관련해선 조선중앙통신이 “견해를 같이했다.”고 보도했다. 후 주석이 비록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히진 않았지만 최소한 묵인의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그런대로 방중 목적을 이룬 셈이다.

경제협력에서도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양국 언론의 보도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지 않지만 압록강 황금평 공동개발과 북한 나선특별시 공동개발 등은 이미 ‘시장경제 원리’에 입각한 산업벨트형 조성방안 등이 마련돼 있는 등 상당부분 진전된 상태다. 김 위원장은 원자바오 총리와의 회담에서도 올해가 북·중 우호 및 상호원조 조약 체결 50주년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경제무역협력의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 나가자.”고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었다. 일각에서는 조약체결 50주년 기념식이 열리는 7월중 좀 더 구체적이고 광범위한 경협 방안이 발표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또 이번 방중에서 중국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 9명 가운데 현재 아프리카를 방문중인 우방궈(吳邦國)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을 제외한 8명을 모두 만났다. 후 주석과의 정상회담에는 지난해 5월 방중 때와 마찬가지로 차기 지도자인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배석했다. 시 부주석은 지난해만 해도 굳은 표정이었지만 이번에는 정상회담 전 인사를 나눌 때 활짝 웃으며 말을 건네는 등 달라진 모습이었다. 중국은 이처럼 최고지도부가 총출동해 김 위원장을 환대하는 모양새를 나타냈지만 예전의 의전과는 달라진 모습도 엿보인다. 김 위원장의 지방 방문에 정치국 상무위원이 한 명도 동행하지 않은 점이나 김 위원장이 베이징을 출발한 지 다섯 시간 만에 방중 사실을 공개한 것 등은 북·중 정상외교의 변화 조짐으로도 읽힌다. 귀국할 때까지 방중 사실을 비밀에 부치는 북한과의 비정상적인 ‘정상외교’가 한계에 봉착한 상황으로도 해석된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5-27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