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장 이슬’로 사라진 北 ‘최고경제통’ 박남기

‘형장 이슬’로 사라진 北 ‘최고경제통’ 박남기

입력 2010-03-18 00:00
업데이트 2010-03-18 1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총살당한 박남기 전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은 노동당과 내각의 요직을 두루 거친 북한의 대표적 경제관료이다.
이미지 확대
북한의 박남기 전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이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지난주 평양에서 총살된 것으로 전해졌다.사진은 지난 2002년 11월  북측 경제시찰단으로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공원을 방문했던 당시의 박남기(왼쪽). 연합뉴스
북한의 박남기 전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이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지난주 평양에서 총살된 것으로 전해졌다.사진은 지난 2002년 11월 북측 경제시찰단으로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공원을 방문했던 당시의 박남기(왼쪽).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북한의 박남기 전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이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지난주 평양에서 총살된 것으로 전해졌다.사진은 지난해 3월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의 새 수영장을 방문한 김정일 위원장의 뒤에 서 있는 박남기(빨간색 원). 연합뉴스
북한의 박남기 전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이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지난주 평양에서 총살된 것으로 전해졌다.사진은 지난해 3월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의 새 수영장을 방문한 김정일 위원장의 뒤에 서 있는 박남기(빨간색 원).
연합뉴스


 박남기는 2005년 당 계획재정부장에 기용되면서 박봉주 당시 총리와 함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양대 경제브레인’으로 활약했고,2007년 박봉주가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 지배인으로 좌천된 이후로는 홀로 김 위원장의 경제정책을 보좌했다.

 그는 2007∼2009년 3년간 경제관료 중에는 유일하게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수행 ‘톱 10’에 들 정도로 김 위원장의 신임이 두터웠다.

 이처럼 ‘잘 나가던’ 박남기였지만 경제관료의 실권이 극히 제한적인 북한 체제의 속성을 누구보다 잘 알았기 때문에 보수적이고 보신적인 성향이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전문가는 이와 관련,“박봉주 총리가 한 때 김 위원장의 신임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경제정책을 펴다 당과 군부의 견제로 밀려난 과정을 박남기는 옆에서 지켜봤다”면서 “시장경제에 역행하는 화폐개혁의 부작용을 일부 예상했을 수도 있지만 그런 성향에 비춰볼 때 자기 주장을 펴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해남도 해주 출신으로 알려진 박남기는 특별한 가정배경을 갖고 있지 않았지만 머리가 좋고 학업성적도 우수해 6.25전쟁 때 체코 프라하공대 기계공학과로 유학까지 다녀왔다.

 남달리 숫자에 밝았던 그는 해박한 경제지식과 높은 책임감,성실성 등을 인정받아 1972년 금속공업성 부상,1976년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1984년 노동당 제2경제사업부(군수공업 담당) 부장 등으로 ‘출세가도’를 달렸다.

 특히 1986년에는 고 김일성 주석의 직접 지시로 국가예산을 기획하는 국가계획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2년 뒤 노동당 경공업담당 비서로 승진하기도 했다.

 한때 평양시 행정경제위원장(1993년)을 거쳐 황해북도 지구계획위원장(1997년)까지 밀려나 권력의 전면에서 사라지는 듯했던 그는 1998년 ‘김정일 1기 체제’ 출범에 맞춰 국가계획위원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했지만 결국 자신도 어쩔 수 없었던 정책 실패의 ‘희생양’으로 비운의 생을 마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