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李도 尹도 결정 못한 부동층… ‘투표율 80%’ 벽은 못 넘었다

끝내 李도 尹도 결정 못한 부동층… ‘투표율 80%’ 벽은 못 넘었다

이혜리 기자
입력 2022-03-09 23:56
업데이트 2022-03-10 0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뒷심 부족에 최종 투표율 77.1%

사전투표율 비해 기대치 못 미쳐
오미크론·투표 대란 우려도 작용
여야 텃밭 영호남 상위권 싹쓸이
‘승부처’ 서울·경기 평균 안팎 수준
코로나도 못 뚫은 투표 열기
코로나도 못 뚫은 투표 열기 제20대 대통령 선거 본투표일인 9일 서울 은평구 진관동 제6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위해 거리두기를 하며 자신의 투표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20대 대통령 선거 최종 투표율(잠정)은 77.1%로 지난 19대 대선(77.2%)에 비해 0.1% 포인트 낮았다. 높은 사전투표율(36.93%)로 최종 투표율이 80%를 웃돌 것이란 기대도 있었지만 예상에는 미치지 못했다.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전국 1만 4464개 투표소에서 전국 유권자 4419만 7692명 중 3405만 9714명이 투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전투표를 비롯해 재외국민·선상·거소투표 집계도 반영한 결과다.

지난 4~5일 실시된 사전투표율은 36.93%로 19대 대선 26.06%보다 10.87% 포인트 높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본투표가 시작된 이날 낮 12시 전국 투표율은 20.3%로 19대 대선 같은 시간대 투표율 24.5%보다 4.2% 포인트 낮았다.

오후 1시부터는 사전투표율 등이 집계에 반영됐다. 이 시간대 투표율은 61.3%를 기록하며 지난 대선(55.5%)을 앞질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격차는 점점 좁혀졌다. 잠정 최종 투표율(77.1%)은 지난 대선 최종 투표율(77.2)에 비해 0.1% 포인트 낮게 집계됐다.

결국 본투표의 뒷심 부족으로 1997년 15대 대선(80.7%) 이후 다섯 차례 연속 최종 투표율 80%의 벽을 뚫지 못했다. 앞선 16대 대선 최종 투표율은 70.8%, 17대는 63%, 18대 75.8%, 19대 77.2%다.
이미지 확대
당초 예상보다 투표율이 낮아진 이유는 역대급 네거티브전과 가족 리스크로 얼룩진 선거 국면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모두에게 마음을 주지 못한 부동층이 끝내 투표장을 찾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우려도 원인으로 꼽힌다. 대선 당일인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만 2446명, 재택치료자는 121만 8536명으로 집계됐다.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당시 벌어진 투표 대란이 재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지지층 총결집이 일어나며 진보와 보수의 ‘텃밭’인 호남과 영남이 투표율 상위권을 차지했다. 호남 지역 세 곳인 광주(81.5%), 전남(81.1%), 전북(80.6%)이 투표율 1~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세종(80.3%)이 차지했고 영남 지역인 대구(78.7%), 울산(78.1%), 경북(78.1%)이 뒤를 이었다. 다만 경남(76.4%)과 부산(75.3%)은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대선 최대 승부처인 서울(77.9%)과 경기(76.7%)는 각각 8위와 10위를 기록했다. 전통적인 캐스팅보트 지역인 충남(73.8%)과 충북(74.8%), 인천(74.8%)은 제주(72.6%)에 이어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이 외에 대전 76.7%, 강원 76.2% 등이었다.

지난 19대 대선과 지역별 투표율을 비교하면 7개 지역에서 투표율이 상승했고, 10개 지역에서는 하락했다. 1개 지역은 변동이 없었다. 대표적으로 전남(2.3% 포인트), 경북(1.9% 포인트), 전북(1.6% 포인트)은 지난 대선보다 투표율이 상승했고, 부산과 경남(각 -1.4% 포인트), 울산(-1.1% 포인트), 인천과 대전(각 -0.8% 포인트) 등은 하락했다.

 
이혜리 기자
2022-03-10 5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