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베를린 구상’] “北, 핵·미사일 포기하면 대화의 문 열려 있다” “대화 어렵지 않나” 질문엔 “평화적 해결해야”

[文대통령 ‘베를린 구상’] “北, 핵·미사일 포기하면 대화의 문 열려 있다” “대화 어렵지 않나” 질문엔 “평화적 해결해야”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7-07-06 23:42
업데이트 2017-07-07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일문일답

문재인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독일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의 궁극적 목표는 북을 핵 폐기 논의를 위한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 내는 것”이라면서 “그것을 위해 북핵 도발을 멈추도록 강요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북한이 지난 4일 미사일 도발을 했다.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지 않나.

-그렇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가장 고도화된 것이자 사거리가 역대 최장을 기록했다. 북한의 도발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보다 더 엄중한 제재와 압박을 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궁극적 해법은 군사적인 방법이 아니라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 대통령이) 북한 문제에서 당사자인 한국이 주도권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미 관계 관련해서 문 대통령은 어떻게 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개별 회담을 가졌고 아직 중국과 한국 사이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를 둘러싸고 서로 이견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외 문제에서는 시 주석과 저 사이에 아무런 이견이 없다.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이 필요하다고 시 주석도 인정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 중국이 의장을 맡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도 중국이 자체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궁극적 해법은 평화적 해결이어야 한다고 양 정상 간 의견 일치를 봤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서 대한민국이 주도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으며 남북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 데 대해 시 주석과 제가 아무런 이견이 없었다.

미국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한반도 문제와 북핵 문제 해결이 평화적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사실과 그 방법을 대한민국이 주도해야 한다는 방법을 그대로 공동성명에 반영시킬 수가 있었다. 그렇게 미국에 대해서도 우리 입장을 분명히 밝히면서 할 말은 하는 관계로 나아가는 게 좀더 한·미동맹을 건강한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길이다.

→미사일 발사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태도도 달라질 수 있지 않나. 또 매년 실시되는 한·미 군사훈련을 줄이는 게 북한 측의 도발을 줄이는 첫 단계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10년간 남북 간에는 일체의 대화가 끊어졌다. 심지어 군사 핫라인도 끊긴 지 오래다. 상황 관리를 위한 연락 체계조차 돼 있지 않다. 북한의 거듭되는 핵 도발로 군사적 긴장이 거듭 높아지고 있다. 북한의 도발은 점점 더 레드라인(최후 금지선)이 가까워져 오는 상황이고 어려워지면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게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북한에 넘지 말 것을 경고하면서 국제사회가 더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을 가할 것을 촉구한 것이다. 그러나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고 대화의 길로 온다면 그 대화의 문은 항상 활짝 열려 있다는 사실과 국제사회가 북한을 도울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함께 전하려는 것이다.

서울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베를린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7-07-07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