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워싱턴 싱크탱크서 한국사·정책 연구한다

美워싱턴 싱크탱크서 한국사·정책 연구한다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06-12 00:08
업데이트 2015-06-12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차·국제교류재단 지원 ‘우드로윌슨센터 한국센터’ 개설

“워싱턴에서 한국을 더 많이 알리고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10일(현지시간) 워싱턴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열린 ‘현대차-KF 한국연구센터’ 발족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제임스 퍼슨 윌슨센터 한국센터장, 선준영 경남대 석좌교수, 유현석 KF 이사장, 제인 하먼 윌슨센터 소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안호영 주미대사, 이광국 현대차 워싱턴사무소장.
10일(현지시간) 워싱턴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열린 ‘현대차-KF 한국연구센터’ 발족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제임스 퍼슨 윌슨센터 한국센터장, 선준영 경남대 석좌교수, 유현석 KF 이사장, 제인 하먼 윌슨센터 소장,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 안호영 주미대사, 이광국 현대차 워싱턴사무소장.
10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 강당. 워싱턴 싱크탱크에서 처음으로 한국 역사와 정책을 접목해 연구하는 센터가 문을 열었다. 현대자동차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각각 200만 달러(약 22억원)와 100만 달러 등 모두 300만 달러를 지원한 ‘현대차-KF 한국역사·공공정책 연구센터’가 주인공이다. 제인 하먼 우드로윌슨센터 소장은 기념사를 통해 센터의 의미를 강조하며 이렇게 밝혔다.<서울신문 6월 8일자 6면>

신설된 센터는 기존 역사연구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전체 센터 내 다양한 한국 연구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한국 현대사 연구는 물론, 남북 관계, 한·미 관계, 한·일 관계, 한국의 국제적 역할 등 한국과 관련한 주요 현안과 중장기 이슈들에 대한 포괄적인 정책 연구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한국 관련 연례 심포지엄 개최 ▲한국의 저명 학자·전문가 초빙 ▲한국역사와 공공정책 연구 펠로십 운영 ▲무역·비즈니스·정치 등 한·미 관계 연구 회의체 운영 ▲미국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한 한국 근대사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에 나서게 된다.

발족식에는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과 성 김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안호영 주미 대사, 이광국 현대차 워싱턴사무소장, 유현석 KF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 소장은 “이번 후원을 통해 미국 오피니언 리더들을 중심으로 한국과 한국 기업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 이사장은 “일본 등에 비해 정책 커뮤니티에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이 부족하지만 차세대 정책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등 워싱턴 내 영향력이 있는 싱크탱크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로이스 위원장은 박근혜 대통령 방미 연기에 대한 입장을 묻자 “우리는 방미 연기를 이해한다. 메르스 사태의 피해자 가족들에 심심한 위로를 표한다”며 “나중에 박 대통령의 방미가 이뤄지면 뜨거운 환영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글 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6-12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