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다 “한중일 관계 개선으로 북한 문제 해결해야”

후쿠다 “한중일 관계 개선으로 북한 문제 해결해야”

입력 2015-05-21 17:13
업데이트 2015-05-21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는 21일 “대화를 통한 한국·중국·일본 3국의 관계 개선으로 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후쿠다 전 총리는 21일 서귀포 해비치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제주포럼 세계지도자세션에서 “과거에는 고이즈미 전 총리가 방북해 납치나 핵 문제 등을 논의하고 6자회담도 진행됐지만 지금은 한중일 3국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동북아에서 북한 문제는 매우 큰 문제지만 북한은 최근에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방북을 거부하는 등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고 우려하며 이는 동북아 지역의 불안으로 연결되며, 남한에도 잠재적 불안이 되는 만큼 하루빨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한중일 3국이 관계를 개선하고자 한다면 오늘이라도 당장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무드가 형성된다면 아시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민족, 언어, 역사도 다르지만 조화를 잘 이루는 아세안(ASEAN) 국가 사례 등을 바탕으로 한중일 3국도 하나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지도자세션에는 후쿠다 전 총리 외에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존 하워드 전 호주 총리, 조 클라크 전 캐나다 총리가 참석해 신뢰와 화합의 새로운 아시아를 향한 평화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유도요노 전 대통령은 중국의 경제적 성장에 대해 “역내 모든 국가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환영하면서도 중국에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바랐다.

그는 “시진핑 주석과 아베 총리의 독트린을 보면 역내 국가간 갈등과 긴장이 심화할 수 있다고 본다”며 역내 국가 간 신뢰를 쌓으면 실질적, 효과적인 지역안보 협력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역설했다.

존 하워드 전 총리는 “중국의 경제 발전은 여러 국가에 이익이 되지만 주권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들이 우려하고 있다”며 중일 관계에 대해 “일본이 중국에 많은 투자를 한 상황에서 분쟁은 이익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중일 분쟁이 크게 악화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역사적 쟁점이 평화 협력 구상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있다”며 한중일 3국의 관계가 이에 해당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조 클라크 전 총리는 “한국이 과감한 이니셔티브를 취함으로써 대화의 장의 다른 국가들을 모을 수 있다”며 “강력한 이웃 국가를 존중하되 목소리를 내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