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5개국, 비공식 대화 개최 공감대

6자회담 5개국, 비공식 대화 개최 공감대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15-02-25 23:56
업데이트 2015-02-26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준국 본부장, 러와 재개 방안 논의… 北 핵능력 고도화에 단계 접근 모색

북한의 핵 능력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 5개국이 비공식 6자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북한에도 비공식 6자회담 개최를 제의할 것으로 전해졌다.<서울신문 2014년 12월 8일자 1, 4면>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공식적인 6자회담이 아닌 다양한 방식의 회담 재개 방안을 고민했었다”며 “관건은 북한이 이를 수용하느냐다”고 말했다.

러시아를 방문하고 있는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24일 러시아 6자회담 대표인 이고리 모르굴로프 외무부 아태담당 차관과 만나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황 본부장은 “6자회담이라는 본 협상에 앞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탐색적 대화’가 필요하다는 데 5자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됐고, 이런 탐색적 대화를 언제, 어디서, 어떤 형식으로 할지 등에 대해서도 여러 협의가 있었다”면서 “북한까지 참여하는 6자 차원의 탐색적 대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황 본부장이 말한 탐색적 대화란 북한의 궁극적인 비핵화를 목표로 하는 6자회담 이전에 합의문 작성이 필요 없는 비공식 6자회담을 말하는 것이다. 아무런 준비 없이 6자회담을 개최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게 되는 부담을 덜고 탐색적 대화를 통해 사전에 서로가 원하는 방향을 미리 파악하고 이를 통해 6자회담을 개최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단계적 접근법이다.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대화 진정성을 담보하는 조치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관의 복귀 허용과 같은 조치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기존 입장을 완화한 것은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가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보당국은 영변 핵시설의 규모가 2배가량 확대되는 등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북한의 주장에 일부 동조해 조건 없는 대화 재개를 강조하는 것도 정부로서는 비공식 6자회담 개최를 검토하게 된 원인으로 보인다. 다만 비공식 6자회담을 북한이 받아들일지는 불분명하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2-2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