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공기부양정·전차 격파용 아파치헬기 36대 도입

北공기부양정·전차 격파용 아파치헬기 36대 도입

입력 2013-04-17 00:00
업데이트 2013-04-17 1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조8천억원 투입해 2016∼2018년 전력화

위사업청은 17일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로 제6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해 육군의 대형공격헬기 기종으로 미국 보잉사의 AH-64E를 선정했다. 사진은 AH-64E와 유사한 AH-64D 기종이다.   방위사업청 제공
위사업청은 17일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로 제6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개최해 육군의 대형공격헬기 기종으로 미국 보잉사의 AH-64E를 선정했다. 사진은 AH-64E와 유사한 AH-64D 기종이다.
방위사업청 제공
북한군 특수부대 수송용 공기부양정과 전차를 격파하는 대형 공격헬기 기종으로 미국의 ‘AH-64E’(아파치 가디언)가 최종 선정됐다.

 방위사업청은 17일 오후 김관진 국방장관 주재로 제6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육군이 운용하는 대형 공격헬기로 미국 보잉사의 AH-64E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1조8천억원의 예산을 투입,대형 공격헬기 36대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가 도입하게 됐다.AH-64E는 미국과 대만,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한국이 구매한다.

 대형 공격헬기는 북한군 기갑 전력과 공기부양정 등을 무력화시키는 항공기로 2008년 합동참모회의에서 소요가 결정됐다.

 보잉사의 아파치와 미국 벨사의 바이퍼(AH-1Z),터키우주항공사의 T-129 등 3개 기종이 지난 5월 제안서를 제출하며 이번 사업의 수주 작업을 벌여왔다.

 지난해 하반기 시험평과 결과 3개 기종이 모두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음에 따라 방사청 협상팀은 올해 3월까지 후보 업체와 기술,절충교역,계약조건,가격 등 4개 분야에서 협상을 진행했다.

 아파치는 비용과 절충교역에서 경쟁기종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성능과 운용적합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최종 낙점을 받았다.

 미측이 아파치 헬기 1개 대대(24대)를 주한미군에 추가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도 상호운용성 측면에서 기종 선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미측은 절충교역 협상에서 저소음 로터 설계 기술 등 기술이전 25건과 국내 부품제작 6건,군수지원 6건 등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백윤형 방사청 대변인은 “대형 공격헬기가 전력화하면 현재 육군이 운용하는 공격헬기의 노후화에 따른 전력 공백을 보강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북한군 기갑 전력의 수도권 위협에 대비하고 국지도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탱크 킬러’로 불리는 아파치는 8㎞ 거리에서 적의 전차나 벙커를 격파할 수 있는 헬파이어 미사일 16발을 장착할 수 있고 두꺼운 장갑을 뚫을 수 있는 30㎜ 기관총도 갖추고 있다.

 대전차 미사일 대신에 70㎜ 히드라 로켓포나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할 수도 있다.

 특히 아파치 중 최신형인 AH-64E는 탐지거리 8㎞ 롱보우 사격통제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이 레이더는 256개 표적을 동시에 탐지할 수 있다.

 길이 17.73m,높이 3.87m,로터직경 14.63m,최대이륙중량은 10.4t이다.최대속도는 293㎞,최대항속거리는 483㎞다.

 아파치는 애초 가격이 비싸 구매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가격협상 결과 36대 구매 가격이 사업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아파치는 정부간 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이 적용됐으나 협상과정에서 가격이 낮아져 사업비 범위에서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신형 AH-64E는 주한미군에서 운용 중인 AH-64D 헬기와 비교하면 엔진동력전달 계통의 성능이 개량됐고 최신 기술의 임무 장비를 탑재했다”면서 “항법 장비와 표적 획득 및 조사 장비가 크게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