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 ‘왕건함’ 상하이를 품다

위풍당당 ‘왕건함’ 상하이를 품다

입력 2011-11-24 00:00
업데이트 2011-11-2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평도 1주년’ 되던 날 中입항 25일 한·중 사상 첫 합동훈련

황푸(黃浦)강의 누런 황토물이 도도히 흘러드는 상하이 와이탄(外灘). 짙게 낀 안개 너머 멀리서 웅장한 군함 한 척이 수줍은 듯 모습을 드러냈다. 45도 각도로 비스듬하게 정렬돼 있는 갑판 위의 5인치 함포와 선수 옆에 씌어진 ‘978’이란 식별번호가 희미하게 포착됐다.

이미지 확대
한국형 구축함인 왕건함이 23일 중국 상하이 해군 기지에 들어서고 있다. 우리 해군 3함대의 왕건함은 중국의 동해함대와 25일 상하이 앞바다에서 합동 수색·구조 훈련을 실시한다. 우리 해군이 중국 해군과 합동 기동훈련을 하는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만재 t수 5500t, 전장 150m인 왕건함은 최고 시속 30노트로, SMⅡ 대공미사일, 하푼 대함미사일, 5인치 함포, 어뢰, 폭뢰, 링스 대잠헬기 등을 갖추고 있다.
한국형 구축함인 왕건함이 23일 중국 상하이 해군 기지에 들어서고 있다. 우리 해군 3함대의 왕건함은 중국의 동해함대와 25일 상하이 앞바다에서 합동 수색·구조 훈련을 실시한다. 우리 해군이 중국 해군과 합동 기동훈련을 하는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만재 t수 5500t, 전장 150m인 왕건함은 최고 시속 30노트로, SMⅡ 대공미사일, 하푼 대함미사일, 5인치 함포, 어뢰, 폭뢰, 링스 대잠헬기 등을 갖추고 있다.




선체 곳곳에서는 각종 첨단 레이더들이 쉴 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정박을 위해 푸둥(浦東)의 마천루 숲을 배경 삼아 선체를 180도 회전시키자 황토빛 강물이 소용돌이치고, 마침내 함미에 매달려 휘날리는 태극기가 드러나면서 우리 군함임을 일깨워 준다. 만재 t수 5500t급의 한국형 구축함 왕건함은 그렇게 위풍당당하게 중국의 제2도시 상하이를 품었다.

북한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일으킨 지 꼭 1년 만인 23일 오전 우리의 왕건함이 상하이의 중국 해군기지에 닻을 내렸다. 중국 해군은 ‘호스트십’으로 2200t급 안칭(安慶)함을 보내 왕건함을 영접했다. 왕건함의 상하이 방문은 중국 해군과의 합동훈련을 위해서다. 우리 해군 3함대와 중국의 동해함대는 25일 상하이 앞바다에서 합동 수색 및 구조훈련을 실시한다. 왕건함과 동급의 중국 구축함이 함께 바다로 나가 화재가 발생한 조난선박을 탐색한 뒤 화재진압, 조난자 구조 등의 작전을 펼칠 계획이다. 중국 해군과의 합동 기동훈련은 사실상 처음이다.

왕건함의 상하이 방문은 지난해 천안함 폭침사태와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중단된 양국 간 군사교류가 본격적으로 재개됐다는 의미도 갖는다.

3함대사령관인 문병옥 해군 소장은 전날 저장성 닝보(寧波)의 중국 동해함대 사령부를 방문해 교류 확대에 합의했다. 문 사령관은 “이번 훈련은 바다를 공유하는 양국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중국 측과 군사적·문화적 교류를 정례화해 서로 신뢰하며 존중하는 기초를 다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동해함대 측은 내년에 한국에 군함을 보내 합동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지난해만 해도 양국 군함의 합동훈련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천안함 사태 이후 중국 측은 남북한의 자제를 촉구하면서도 사실상 가해자인 북한을 편들었다. 우리 군이 대응차원에서 미국 등과의 군사훈련을 강화하자 이를 강력히 비난하면서 서해상에서의 대규모 군사훈련으로 맞불을 놓기까지 했다.

이랬던 중국이 한국 해군을 ‘친구’로 대접하기 시작했다. 상하이기지 부참모장 리쥔(李軍) 대교(대령급)는 왕건함장 신정이 대령을 반갑게 맞이하면서 “우리의 라오펑유(朋友·오랜 친구)인 한국 해군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왕건함의 상하이 입항과 합동군사훈련에 동의한 중국 군의 의도가 무엇이건 이번 협력을 계기로 중국과의 군사교류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와 같은 중국 군부 강경파의 맹목적인 북한 편들기가 재현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군의 한 관계자는 “우리와 소원해진 기간에 북·중 해군교류가 매우 활발했다.”면서 “이번 훈련은 그걸 단절시키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글 사진 상하이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11-2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