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독도 격정’ 트위트하는 이재오

연일 ‘독도 격정’ 트위트하는 이재오

입력 2011-07-19 00:00
업데이트 2011-07-1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임장관 SNS 단상 왜

“내가 국무위원만 아니면 일본 정부와 ‘맞짱’을 뜰 텐데….”

이미지 확대
이재오(얼굴) 특임장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와 페이스북에다 연일 격정의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주제는 ‘독도’, 그의 뭇매를 맞는 대상은 일본 정치인들이다. 일본 정부의 대한항공 이용 금지 조치와 자민당 의원들의 시위성 울릉도 방문 움직임을 혈혈단신 맨몸으로 깨부수겠다는 기세다. ‘단호한 대처’를 내세우는 정부의 자세보다 한참 더 나간 모습이다.



이 장관은 18일 페이스북에 이렇게 썼다. “생각할수록 일본에 분통이 터집니다. 내가 국무위원 겸직만 아니면 일본 정부와 맞짱 뜨고 싶지만 많이 참고 참아서 그 정도로 한 겁니다.” 이 장관이 언급한 ‘그 정도’는 지난 16일 일본 자민당 의원들이 울릉도를 방문하겠다고 밝힌 뒤 “모든 조직을 동원해서라도 국민의 이름으로 울릉도 진입을 막겠다.”고 강경 발언을 한 것을 말한다. 앞서 이 장관은 일본 외무성의 대한항공 이용 자제 지시에 대해 “우리나라 영토에서 우리나라 비행기가 비행하는데 일본이 무슨 참견인가.”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이번 문제가 터지기 전에도 트위터에 거의 매일 ‘독도 단상’이라는 글을 올리며 남다른 ‘독도 사랑’을 보여온 바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발언은 이 같은 행보에 견줘 봐도 예사롭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6·3세대’의 주역 중 한 명인 그의 인생역정을 강경 발언의 배경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장관은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인 지난 1964년 6·3항쟁에서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다 주동자로 지목돼 중앙대에서 제적됐다. 이후 군에 강제 징집된 뒤 만기 제대한 다음에도 3선 개헌 등을 이유로 복교를 거부당했고, 이후 민주화 운동에 투신해 다섯 차례에 걸쳐 10년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실제로 이 장관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민주화 운동 동지에게 말하는 형식을 빌려 “여보게, 일본 하는 짓이 분통 터지지 않는가. 1964년 우리가 어떻게 대학에서 쫓겨났는가. 그 굴욕적인 한·일 회담을 반대하다가 인생의 운명이 바뀌지 않았나. 47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은 독도를 갖고 자기네들 국내 정치에 이용하지 않는가.”라고 6·3항쟁을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또 페이스북에는 “일본은 1964년의 한국으로 착각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그때 굴욕적인 한·일 회담 반대 학생운동으로 대학에서 쫓겨났던 시골 출신 대학생이 지금은 대한민국의 장관이 돼서 한 말임을 깊이 새겨 들어야 합니다.”라고 ‘뼈 있는 경고’를 남겼다.

‘6·3세대’ 대표주자로서의 이 같은 충정 말고도 자신의 정치적 존재감을 강화하려는 뜻이 담겼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나라당의 무게 중심이 친박 진영으로 급속히 쏠린 상황에서 스스로 비주류를 선언하고 독자 행보를 강화해 나가려는 포석으로 대일 강경 행보를 택한 것이라는 얘기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2011-07-19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