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시간·TOD 논란 초래”
18일 평택 2함대에 정박한 독도함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해군과 해병대의 첨단장비 활용능력이 도마 위에 올랐다.김장수 한나라당 의원의 질의자료에 따르면 천안함 사고 직후 추가 영상의 존재 유무를 두고 논란이 일었던 TOD(열상감시장비)는 1990년대 초부터 우리 군에 도입된 장비지만 디지털녹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인 ‘무적감시체계’는 작년 말에 전력화됐다.
김 의원은 “천안함 사고 당시 해병 6여단 238초소에서 TOD의 영상공유 및 저장체계인 DVR의 기본기능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국방부가 최초로 TOD 영상을 공개한 지난 3월30일 “더 이상의 TOD영상은 없다.TOD는 녹화 단추를 눌러야 녹화되는데 버튼을 늦게 작동시켜 녹화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는데도 해병대는 문제제기를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4월1일 해병대사령부 지휘통신참모처의 황모 상사가 DVR 자동녹화 가능성을 여단 전산실에 조언하고서야 군은 자동녹화기능에 눈을 떴다”며 “그때까지 아무도 모르고 있었고 며칠 지나면 500기가 용량 초과로 사건 당일의 자동저장 영상이 지워질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TOD 감시장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천안함 사고 이후 군 전체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는 지적이다.
천안함 사고 당시 전술지휘통제체계(KNTDS)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해군도 김 의원의 지적을 받았다.
김 의원이 해군작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당시 2함대사 KNTDS 당직자였던 배모 하사는 21시25분3초에 천안함 전시상태가 점멸상태로 바뀌고 나서 소멸한 사실을 확인했다.
KNTDS 체계상 표적전시는 함정에서 보내온 위치신호가 소멸된 직후 3분간 깜박이다가 사라진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함정이 변침하거나 위성 전송상태가 불량할 때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상급자에게 보고하지 않은 채 2분 후 천안함의 위치를 탐지하고 있던 296R/S(전탐감시소) 당직자에게 천안함 위치를 KNTDS 화면에 표시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GPS-100 R/D로 천안함을 확인하고 있던 296R/S 당직자는 2함대사의 지시에 따라 천안함의 위치정보를 KNTDS로 전송했다”며 “당시 296R/S 당직자는 천안함 함수를 천안함으로 인식하고 있었고,사고 발생 1시간여 후인 22시37분까지도 천안함 함수의 위치정보를 KNTDS에 송신했다”고 밝혔다.
해작사 KNTDS 운용담당자였던 임모 중사도 21시25분27초에 KNTDS 화면상의 천안함 표시가 소멸된 사실을 인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일시적인 전송상태 불량으로 판단해 2함대사 KNTDS 운용담당자인 배 하사에게 천안함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했고,21시30분경 천안함 위치 표시가 다시 수신되자 상급자에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김 의원은 “당시 2함대사의 장비운용자가 파악한 소멸시각인 21시25분3초와 해작사 장비운용자가 인지한 21시25분27초가 사고 당일 혹은 그 이후라도 합참 등 상급부대에 보고됐다면 사건발생 초기 침몰시간 관련 혼란이 크게 줄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해군은 KNTDS 화면에서 관심 표적정보가 소멸될 경우 이를 즉시 확인하고 보고할 수 있는 체계를 정비해 앞으로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