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본회의 불참, 나 말고도 많아… 실제 생활비 月300만원”

황희 “본회의 불참, 나 말고도 많아… 실제 생활비 月300만원”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1-02-09 22:18
업데이트 2021-02-10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땀 뺀 문체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46개 계좌 ‘나쁜 놈이네’ 생각 들 수밖에”
잇따른 논란에 여당에서도 쓴소리 나와
황 “병가 여행 죄송… 대부분 소액 계좌
생활비 60만원이라 말한 적 없어” 해명

野, 논문 표절 의혹 등 제기·사퇴 요구
‘의원 불패’ 막을 결정적 한 방은 없어
이미지 확대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는 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월 60만원 생활비 의혹, 논문 표절 논란 등을 해명하느라 진땀을 뺐다. 특히 20대 국회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당시 본회의 불출석 사유로 병가를 적어 내고 관용여권을 이용해 스페인 가족여행을 떠난 데 대해 “부적절한 처사였다”고 사과했다. 야당은 각종 의혹을 캐물으며 자진사퇴를 요구했으나 ‘현역 불패 릴레이’를 멈출 결정적 한 방은 내놓지 못했다.

친정인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쓴소리가 나왔다. 유정주 의원은 “여행 좋아하시나 보다. 그래도 본회의 불참은 안 된다”고 지적했다. 황 후보자는 “그때 참석하지 못한 의원들이 저 말고도 많이 있었다”면서도 “당시 솔직하게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가족과 스페인에 왔다고 사과문도 올리고 지적도 많이 받았다”고 했다.

민주당 이병훈 의원은 “월 생활비 60만원을 쓰면서 계좌는 46개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누구나 ‘나쁜 놈이구나’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황 후보자는 가족 3명이 한 해 약 720만원의 생활비를 썼다고 국세청에 신고했고, 국민의힘은 “오병이어 기적의 삶”, 정의당은 “수상한 자린고비”라고 비판해 왔다.

이에 황 후보자는 “60만원이라고 이야기한 적은 없다”며 “생활비 중 집세, 보험료, 학비 등을 빼고 신용카드 사용액이 720만원인데 단순히 12로 나눈 것이고, 실제 생활비 지출은 (월) 300만원 정도”라고 했다. 가족 명의 계좌 46개에는 “(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로 두 번 떨어지고 계속 출마하다 보니 계좌에 얼마나 있었는지는, 대부분 소액 계좌라 모른다”고 했다.

반면 이 의원은 황 후보자가 보좌진 10명과 함께한 9일간의 스페인 출장 경비로 577만원의 정치자금만 지출했다는 의혹에는 “국민들이 문제 삼는 것은 국회의원들의 국비 예산 관광성 회의”라며 “보좌진과 선진(국가를) 시찰하는 것은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라고 감쌌다.

지도교수가 국회 연구용역을 받고 제출한 보고서를 황 후보자가 박사학위 논문으로 썼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은 “논문을 사실상 국민 돈으로 샀다는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황 후보자는 “졸작이지만 실제 제가 쓴 것이 맞다”고 반박했다.

후보자 지명 때부터 논란이 된 비전문성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36대 박지원 장관부터 51대 박양우 장관까지 다양한 경력의 분들이 문체부 장관을 역임했다”고 엄호했다. 반면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은 “코로나로 어려운 문화·체육·예술계를 걱정해서 한 인사가 아니고, 대선을 염두에 둔 정권 마지막의 보험용 인사”라고 비난했다.

여야 의원들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체육시설, 영화관·공연장 등의 제한 완화와 지원을 요구했다. 민주당 전용기 의원은 “체육인들의 전문적 의견을 반영해 달라”고 주문했고, 황 후보자는 “귀 기울여 문체부 안을 만들겠다”고 답했다. 또 여행업계에 특별 고용유지업종 지정 연장 등 지원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2021-02-10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