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회동 대화록 ② 전술핵 및 사드 배치

靑회동 대화록 ② 전술핵 및 사드 배치

입력 2017-09-28 09:13
업데이트 2017-09-28 1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안 대표 = 미국의 반대에도 확장 억제 부분을 우리 정부가 공론화시키면 미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훨씬 더 많은 협상력을 가질 수 있고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다. 이 부분을 적극 주장해 외교 카드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확장 억제 부분을 문서화하고 상설화시키는 것이 전술핵 핵무장 논의로 인한 국론 분열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 정 실장 =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식 핵공유 협정은 전술핵이 배치된 국가와 미국 간에 핵무기 관련 정보를 사용 시 의사결정을 같이 하는 절차를 문서화하는 것인데, 우리는 아직 전술핵이 배치되지 않아서 나토식은 어렵다.

▲ 안 대표 = 한반도 내에 핵을 들여오지 않더라도 한반도와 관련한 핵 억지력을 사실상 미국과 공유하는 그런 형태를 문서화하자는 것이다. 정상회담마다 확장 억제가 모두 들어가는데 그런 추상적인 선언적인 반복이 아닌 항구적 형태의 문서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 문 대통령 = 미국은 매번 선언문에서 확장 억제를 강조했는데 그렇게 못 믿느냐고 우려를 표명할 수도 있고, 다른 동맹 관계에 대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국회에서 이렇게 요구하는 것은 정부로서 부담스럽지 않다.

▲ 주 권한대행 = 대통령의 사드 배치 절차를 보고 안 하려는 것이 아닌가 오해를 했다. 지금 사드 배치 부대가 1개밖에 없는데 예산을 늘려서라도 3개 이상 들여와야 한국 전역에 대한 커버가 가능한 것 아닌가.

▲ 문 대통령 = 사드에 대해서는 지금 임시배치 결정을 했고 일반 환경영향 평가 결과를 보고 최종 결정을 하겠다. 추가 도입 부분은 사드 자체에 대해 반대하는 분들에 대한 설득이 우선돼야 해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

▲ 주 권한대행 = 기존에 괌에 있는 유엔사나 후방에 있는 미군 확장 억지력도 이제 타격을 받을 수 있고, 미국 본토도 타격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됐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는 대화의 장에 나오도록 공세를 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압박이 필요하다. 다중방어체계가 필요하다. 기존의 미사일 방어체제는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 문 대통령 = 우리가 다층구조 방어체계를 구축했어야 하는데, 북한의 핵·미사일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북핵 발전에 맞춰 방어체제를 구축하려고 하는데 3∼4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데 답답함을 느낀다. 국방비와 관련해서도 의미 있는 증액이 이번에 있었다.

▲ 주 권한대행 = 전술핵 배치와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에 반한다는 명분은 맞지 않는다. 미사일 지침처럼 탄두 길이와 중량을 늘리듯 손에 잡힐 수 있는 그런 방안들을 개척해야 한다.

▲ 정 실장 = 미국으로부터 전략자산의 한반도 주변 순환배치를 확대한다는 약속을 받았다. 빠르면 연말부터 시작될 것이고, 우리의 추가방어능력을 확대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한미방위조약에 핵무기를 포함해 모든 수단이 다 포함돼 있다. 미국은 최대한 그것으로 하려고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