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경기전망 낙관 26% 비관 34%…작년말보다 비관론 완화[갤럽]

1년 경기전망 낙관 26% 비관 34%…작년말보다 비관론 완화[갤럽]

입력 2017-09-15 11:02
업데이트 2017-09-15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업자 전망…“증가” 41%, “감소” 28%, “비슷” 26%

앞으로 1년간 경기를 낙관하는 것보다 비관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지만, 작년 말보다는 비관론이 누그러들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12~14일 전국 성인 1천6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 포인트)에 따르면 향후 1년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26%였고,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34%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36%는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4%는 의견을 유보했다.

작년 말 조사에서는 ‘좋아질 것’으로 내다본 응답자는 4%에 불과했고,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은 전체 응답자의 3분의 2 수준인 66%에 달했다.

갤럽은 “작년 말에는 국정농단, 대통령 탄핵 등으로 사회 전반이 매우 혼란하고 불안정했다”며 당시 경기 비관론이 팽배했던 배경을 설명했다.

살림살이에 대해서는 24%가 ‘좋아질 것’, 22%는 ‘나빠질 것’, 53%는 ‘비슷할 것’이라고 봤다.

작년 말에는 살림살이 낙관론이 역대 최저치인 11%, 비관론은 42%를 기록했었다.

실업자가 향후 1년간 ‘증가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은 41%였다. ‘감소할 것’과 ‘비슷할 것’이란 응답은 각각 28%, 26%였다.

노사분쟁에 대해서는 앞으로 1년간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47%로, 작년 말 50%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같은 기간 ‘감소할 것’이란 응답은 5%에서 28%로 늘었다.

국제분쟁과 관련해선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비율은 작년 말 조사 때보다 8%포인트 늘어난 59%로 집계됐다. 전체의 9%만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갤럽은 “과거 한국인의 경기전망 추이를 보면 1980년대는 대체로 낙관론이 비관론을 크게 앞섰으나 1990년대는 낙관과 비관 우세가 교차로 혼재했다”며 “2000년대 들어서는 대체로 비관론이 우세했다”고 설명했다

과거 38년간 조사 중 ‘내년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낙관론 최고치는 1983년(69%)에 기록했고, 국정농단 파문이 거세게 몰아쳤던 2016년(4%)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실업자 전망 추이에서 낙관론(‘내년 실업자 감소할 것’)이 비관론(‘내년 실업자 증가할 것’)보다 우세했던 것은 인터넷·벤처 창업 열풍이 일었던 1999년(낙관 40%, 비관 25%)이 유일했다.

그러나 곧 ‘닷컴 버블’ 붕괴로 이어져 2000년 비관론은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때와 같은 88%(최고치)까지 치솟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