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강경화 구하기’ 직접 나선다…내일 野지도부 설득

文대통령 ‘강경화 구하기’ 직접 나선다…내일 野지도부 설득

입력 2017-06-11 14:03
업데이트 2017-06-11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정연설 앞두고 野지도부 면담…“장관 없는 한미정상회담 안돼”

청와대의 ‘강경화 구하기’가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한사코 거부하고 있는 야당 지도부를 찾아 손수 이해를 구하고 협력을 끌어내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이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처리 문제가 청와대와 야당간 관계설정의 분수령으로 떠오른 만큼 새 정부 하에서의 협치가 기로에 섰다는 평이 나온다.

현재로선 강 후보자에 대해 야당이 협조할 가능성은 그리 커 보이지 않는다.

우여곡절 끝에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명됐지만, 야당은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 그리고 강 내정자에 대한 청문 보고서 채택을 거부하고 있다.

김 후보자와 김 내정자에 대해선 당초 지난 9일 국회 인사청문특위와 정무위에서 청문 보고서 채택 여부가 결론 나야 했지만 야당은 이를 12일로 일단 미뤘다. ‘뜨거운 감자’인 강 내정자와 연계시키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구(舊) 여권인 자유한국당·바른정당은 물론 더불어민주당과 뿌리를 같이 한 국민의당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 강 내정자에 대한 문 대통령의 철회를 조건으로 김·김 후보자를 통과시켜주겠다는 ‘빅딜’을 노린 것이다.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청와대는 아직은 야당 설득에 최선을 다한다는 기존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전병헌 정무수석 등 청와대 정무라인이 총출동해 야당 지도부 설득과 읍소에 며칠째 집중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도 청와대와의 교감 하에 야권 설득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는 형국이다.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도부가 지난 9일 만찬 회동을 한 것도 야권 설득에 총의를 모으기 위한 자리였다. 문 대통령은 당시 “100% 흠결이 없는 사람이 없지만, 최선을 다해 국회를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심으로 정성을 다하는 게 최선의 방법 아니겠냐”라고 했다. 강 후보자의 일부 의혹이 철회할 정도의 사안은 아니지만 할 수 있는 데까지는 최대한 야당을 설득하겠다는 인식이다.

이런 기조의 연장선에서 문 대통령의 12일 국회 시정연설이 꼬인 실타래를 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추가경정 예산안 협조를 당부하려 취임 후 한 달 여만에 처음으로 국회 본회의장에서 여야 국회의원들 앞에 선다.

문 대통령은 시정연설 직전 국회의장실에서 여야 지도부를 따로 만나 추경안 협조는 물론 강 후보자 임명을 위해 직접 설득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대통령까지 직접 야당 지도부를 만나 진정성 있는 설득을 하면 비토 기류가 상당 부분 바뀔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보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통령께서 취임 직후 야당부터 방문하시고 원내대표들을 초청해 식사도 하셨다. 내일 시정연설 계기에 또다시 직접 만나 부탁할 수 있으니 일단 내일까지는 지켜보자”고 말했다.

앞선 9일 문 대통령은 청와대 대변인 발표 형식을 빌려 국회에 강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을 간곡히 호소한 바 있다.

문제는 문 대통령의 야권 직접 설득 이후다. 청와대로서는 ‘최후의 수단’인 대통령의 대면 호소에도 야당이 꿈쩍하지 않으면 결단 상황에 몰릴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문 대통령이 강 내정자 철회를 결정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 많지 않다.

강 내정자를 둘러싼 위장전입 등의 의혹이 장관 업무 수행을 못 할 정도의 결정적인 하자가 아니라는 게 청와대의 인식인 데다 한미정상회담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에 각종 정상회담이 줄줄이 예정됐다는 점에서 외교장관 없는 정상회담은 상상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강 내정자가 탁월한 국제감각으로 3대에 걸친 유엔사무총장의 정무특보로 연이어 활약해 이미 국제사회에서 인정을 받았고 첫 여성 외교장관이란 점에서 ‘유리천장’을 깬다는 의미도 결코 작지 않다.

물론 청와대 관계자는 ‘야당이 끝까지 거부하면 임명을 강행할 것이냐’는 질문에 “현재로선 답변하기 어렵다”고 했다. 현재의 설득 모드를 깨지 않겠다는 의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