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관급 5명 인사]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참 나쁜 사람’… 퇴출 1년 만에 화려한 복귀

[차관급 5명 인사]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참 나쁜 사람’… 퇴출 1년 만에 화려한 복귀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7-06-09 23:04
업데이트 2017-06-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태강 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이 박근혜 정부의 강압 인사로 30년 공직 생활을 끝낸 지 1년 만에 문체부 제2차관으로 발탁되며 화려하게 부활했다.
이미지 확대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연합뉴스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연합뉴스
노 차관의 수난은 2013년 8월 문체부 체육국장 재직 시절 최순실 국정 농단에 얽힌 승마계의 파벌 싸움에 대해 진언을 했다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참, 나쁜 사람’으로 낙인 찍힌 것에서 비롯됐다. 당시 ‘비선 실세’로 통하던 최순실씨는 전국승마대회에서 자신의 딸(정유라)이 우승하지 못하자 편파 판정 의혹을 제기했고, 문체부는 대통령비서실의 지시를 받아 승마협회 등에 대한 감사를 벌였다. 감사를 담당한 노 차관은 최씨 측 편을 들지 않고 문제가 파벌 싸움에서 비롯됐다는 취지의 감사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좌천되어 3년간 한직에 머무르다가 지난해 5월 강제 퇴직됐다.

그전까지는 문체부 선두 그룹으로 분류될 정도로 업무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강직하고 온화한 성품으로 친화력이 뛰어나다는 게 안팎의 평가다. 청와대는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적임자라며 발탁 배경을 설명했으나 전 정권의 인사 전횡에 희생당한 것에 대한 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박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강요 혐의에는 노 차관에 대한 사임 압박도 포함됐다.

노 차관은 1988년 제27회 행정고시에 합격, 공직에 입문했다. 독일에서 석·박사를 수학하고 주독일 한국문화원장을 지내는 등 해외에서 한국을 홍보하는 일에 탁월했다. 또 국제경기과 사무관과 국제체육과장 등을 거치며 문화·체육 정책 업무에 두루 식견을 쌓아 왔다.

노 차관은 과거 겪었던 피해에 대해 “감정의 앙금 같은 게 남지는 않았지만, 문체부 직원들 만나면 또 울컥할 것 같다”면서 “행정을 제대로 해나간다면 공정성은 당연히 따라올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남 창녕(57) ▲대구고 ▲경북대 행정학과 ▲독일 비아드리나 유럽대 문화학 박사 ▲행시 27회 ▲문체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장, 체육국장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 ▲스포츠안전재단 사무총장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6-10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