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이 전시에 대비해 북한 지하군사시설의 정교한 지도를 만들고 있으며 한미 양국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북한 지하시설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수전사령부 전투발전처 소속 박성만 육군 소령은 연합뉴스가 1일 입수한 합동참모본부 군사학술지 ‘합참’ 7월호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소령이 기고한 ‘북한 비대칭전력에 대한 한국군 대응 방안’이라는 제목의 논문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한국에서 한미 양국 군 간부들이 참가하는 ‘UGF’(Underground Facility, 지하시설)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UGF는 1990년대 중반 미 육군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주한미군에는 2007년 도입됐으며 우리 군 간부들은 작년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진행되는 UGF에서는 지하시설 전반에 관한 교육과 더불어 북한 지하시설의 정보 공유도 이뤄진다. 이는 한미 양국 군이 그만큼 북한의 지하시설을 엄중한 군사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착수했음을 시사한다.
6·25 전쟁 당시 미군의 공중폭격으로 막대한 피해를 본 북한은 1960년대 ‘전 국토의 요새화’를 내걸고 지하군사시설을 짓는 데 공을 들였다. 현재 북한의 지하시설은 모두 6천∼8천개로 추정된다.
미군은 탈북자의 진술 등을 토대로 북한의 방대한 지하시설에 관한 정밀 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미군 교관은 UGF에서 공개한 북한 지하시설 자료를 만드는 데 6년 이상 걸렸다며 탈북자 진술에 의존해 ‘완전한 갱도 진지의 청사진’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음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만 소령은 “전시 또는 비상시에 김정은을 포함한 북한 지도부가 이용할 갱도 비상통로를 파악하고 이들이 평양 이외 지역으로 도피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추적, 저지할 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하시설 보호를 위해 두께가 20㎝에 달하는 철문을 달고 2010년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에는 우리 군의 정밀유도무기 배치에 대응해 지하시설 입구에 대형 콘크리트 방호벽도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1970년대 초부터는 지하시설에 대한 외부의 감시를 교란하고자 유인용(decoy) 시설을 구축하는 등 위장 전술도 강화했다.
박성만 소령은 북한의 지하시설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미군의 레이저 유도폭탄인 ‘벙커 버스터’(GBU-28)를 500∼1천기는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지하시설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지하시설에서 북한군 소탕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부대를 편성하고 훈련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특수전사령부 전투발전처 소속 박성만 육군 소령은 연합뉴스가 1일 입수한 합동참모본부 군사학술지 ‘합참’ 7월호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소령이 기고한 ‘북한 비대칭전력에 대한 한국군 대응 방안’이라는 제목의 논문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한국에서 한미 양국 군 간부들이 참가하는 ‘UGF’(Underground Facility, 지하시설)라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UGF는 1990년대 중반 미 육군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주한미군에는 2007년 도입됐으며 우리 군 간부들은 작년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진행되는 UGF에서는 지하시설 전반에 관한 교육과 더불어 북한 지하시설의 정보 공유도 이뤄진다. 이는 한미 양국 군이 그만큼 북한의 지하시설을 엄중한 군사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착수했음을 시사한다.
6·25 전쟁 당시 미군의 공중폭격으로 막대한 피해를 본 북한은 1960년대 ‘전 국토의 요새화’를 내걸고 지하군사시설을 짓는 데 공을 들였다. 현재 북한의 지하시설은 모두 6천∼8천개로 추정된다.
미군은 탈북자의 진술 등을 토대로 북한의 방대한 지하시설에 관한 정밀 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미군 교관은 UGF에서 공개한 북한 지하시설 자료를 만드는 데 6년 이상 걸렸다며 탈북자 진술에 의존해 ‘완전한 갱도 진지의 청사진’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음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만 소령은 “전시 또는 비상시에 김정은을 포함한 북한 지도부가 이용할 갱도 비상통로를 파악하고 이들이 평양 이외 지역으로 도피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추적, 저지할 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하시설 보호를 위해 두께가 20㎝에 달하는 철문을 달고 2010년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에는 우리 군의 정밀유도무기 배치에 대응해 지하시설 입구에 대형 콘크리트 방호벽도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1970년대 초부터는 지하시설에 대한 외부의 감시를 교란하고자 유인용(decoy) 시설을 구축하는 등 위장 전술도 강화했다.
박성만 소령은 북한의 지하시설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미군의 레이저 유도폭탄인 ‘벙커 버스터’(GBU-28)를 500∼1천기는 보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지하시설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지하시설에서 북한군 소탕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부대를 편성하고 훈련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