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권 정국] 기로에 선 김무성… 중재냐 결단이냐

[거부권 정국] 기로에 선 김무성… 중재냐 결단이냐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5-06-28 23:50
업데이트 2015-06-29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내대표 거취’ 묘안 찾기 부심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연합뉴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8일 박근혜 대통령의 뜻도 고려해야 하고 유승민 원내대표도 지켜야 하는 모순적 상황을 타개할 묘수를 찾는 데 집중했다.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과 유 원내대표와도 장시간 통화하는 등 양측 모두와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또 주말 사이 서청원 최고위원, 유 원내대표와의 3자 회동을 시도했다. 하지만 서로 셈법이 달라 무산됐다. 박 대통령과의 면담도 추진했지만 거절당했다. 박 대통령의 입장이 완강한 탓에 청와대 관계자 등을 통한 협의도 여의치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친박계의 공세가 유 원내대표를 넘어 자신을 향할 것이라는 얘기도 심심찮게 흘러나오는 만큼 중립적 입장을 배제하고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 김 대표는 이날 측근들에게 “여당 원내대표가 대통령과 맞서 이기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의 정치 행보에 유 원내대표가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면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를 ‘읍참마속’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김 대표가 친박계로부터 ‘최고위원 동반 사퇴’ 카드를 쓰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 낸다는 전제 아래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다. 그럴 경우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한 다수의 비박계 의원들로부터 “당 대표가 체제 유지를 위해 야합을 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하지만 김 대표는 원칙적으로는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 유 원내대표가 물러날 경우 김 대표 입장에서는 ‘정치적 완충지대’가 사라지게 되고, 자신이 다음 타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친박계인 이완구 전 원내대표와 ‘투톱 체제’를 이뤘을 당시만 해도 존재감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중국 방문길에 ‘개헌 논의 봇물’이라는 발언을 했다가 청와대로부터 호된 질타를 받고 하루 만에 꼬리를 내리기도 했다. 하지만 유 원내대표와의 조합에서는 상대적으로 청와대와 호흡을 잘 맞췄고, 각종 현안에서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김 대표가 내놓을 묘안이 ‘당직 개편’에 숨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대표가 공천 실무를 담당하는 사무총장이나 제1사무부총장 중 한 자리를 친박계에 파격적으로 양보하면 친박계도 사퇴 압박을 멈추지 않겠냐는 예상에서다. 친박계를 향한 일종의 당근책인 셈이다. 물론 친박계가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6-29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