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단추 끼운’ 윤병세…한일관계 ‘리셋’ 역할 주목

‘첫단추 끼운’ 윤병세…한일관계 ‘리셋’ 역할 주목

입력 2015-06-25 10:21
업데이트 2015-06-25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번 주초 취임 이후 가장 뜨거운 여론의 주목을 받았다.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의 중심에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2013년 취임 이후 첫 일본 방문과 도쿄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에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교차 참석 등을 이끌며 외교수장으로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한일이 모처럼 ‘새로운 50년’을 위해 올해를 새 출발의 ‘원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이를 위한 과제는 녹록지 않다.

최대 쟁점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종전 70주년 계기 아베 총리의 이른바 ‘아베 담화’ 등 만만치 않은 과제가 눈앞에 놓여 있다.

윤 장관은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이 이후 국내 언론과는 처음으로 연합뉴스와 24일 가진 단독인터뷰에서 적절한 비유를 섞어가며 현안과 정부의 외교 기조 등을 적극적으로 설파했다.

평소 ‘달변’이라는 평가답게 질문에 막힘이 없었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여러 가지다” “’대안(alternative) 루트’도 염두에 둬야 한다”

여전히 갈 길이 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 표현으로 읽힌다.

그러면서도 정부가 한일관계에서 원칙을 저버리지 않겠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은 듯 “천천히 가더라도 꾸준히(slow and steady), 큰 원칙을 지키는 것”이라며 정부의 외교정책 기조도 강조했다.

”이미 벌써 굉장히 악화된 관계를 이어받았다”면서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부터 한일관계가 어려운 상황이었음을 토로하기도 했다.

윤 장관은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취임 이후 한 번도 양자 정상회담을 갖지 못한 데 대해 “당연히 아쉽다”면서도 “길게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역대 정부가 대부분 정부 초반에는 일본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다 후반에는 악화된 상황에서 마무리된 것을 거론하며 “시행착오를 하지 말아야 되겠다는 차원에서 안정적 발전이라는 거창하지 않은 목표를 세웠다”고 설명했다.

난제 중의 난제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 드릴 수 있어야 한다”면서 “처방약을 어떤 배합으로 하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약 처방’을 비유했다.

한일이 위안부 해법을 놓고 치열한 ‘넣고 빼기’ 싸움을 벌이고 있음을 시사한 대목이다.

”모든 현안이 리히터 규모 6∼7로 올라간다면 양국관계의 미래는 굉장히 암울하게 될 것”이라는 표현도 했다.

일본 수산물에 대한 우리 정부의 수입규제를 둘러싼 갈등을 예로 들면서 모든 사안이 양국 국민 간 감정싸움으로 비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시한 것이다.

윤 장관은 현 정부 초대 외교수장으로서 2년4개월여를 재임, 현직 장관들 가운데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과 함께 ‘최장수 반열’에 올랐다.

윤 장관이 간부들을 대상으로 주재하는 회의는 장시간 심야까지 이어져 한때 ‘콘클라베’로 불릴 정도로 ‘일벌레’로 알려져 있다. 콘클라베는 외부와 격리된 채 교황을 선출할 때까지 계속하는 회의를 말한다.

윤 장관은 하반기에도 만만치 않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과 아베 담화, 한일 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도전과 파고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경기고와 서울법대를 졸업했으며, 북미1과장, 주미 공사,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정책조정실장, 외교통상부 차관보, 대통령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비서관, 국가미래연구원 외교안보분야 발기인,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ㆍ국방ㆍ통일분과 인수위원 등을 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