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의 혁신위 ‘공천·인사·당무’ 내홍 잡을까

김상곤의 혁신위 ‘공천·인사·당무’ 내홍 잡을까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5-05-24 23:16
업데이트 2015-05-25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정치연 혁신위원장 수락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24일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에 공식 임명됨에 따라 4·29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거듭된 야권의 분열상을 조기에 수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1야당의 쇄신과 미래가 김 위원장의 손에 달렸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혁신위가 미봉책을 내놓거나 혁신안을 놓고 계파 갈등이 재연될 경우 새정치연합은 더 큰 위기에 봉착할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이 이날 “(주변에서) 위원장 자리는 독배나 다름없다는 말씀을 했다”며 의욕보다 부담감부터 드러낸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왼쪽) 대표와 당 혁신위원장직을 수락한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24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밝힌 뒤 마주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왼쪽) 대표와 당 혁신위원장직을 수락한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24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밝힌 뒤 마주 보며 환하게 웃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가칭 ‘혁신위원회’의 역할은 내년 총선의 공천 룰 결정과 인사 쇄신, 당무 혁신 등이다. 하지만 당장은 기구 명칭과 위원장만 정해진 상태다. 김 위원장은 ‘백지 상태’인 혁신위 참여 인사들에 대한 인선 작업부터 진행해야 한다. 조국 서울대 교수 등이 위원으로 참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 위원장과 친분이 있는 이종걸 원내대표 등 비주류의 의사가 인선 과정에 반영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위원 인선 작업에서부터 1차적인 파열음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내놓는다. 2·8 전당대회 직후 당직 인사 과정에서 나타난 계파 간 ‘지분 나누기’ 전례가 혁신위 인선에서도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혁신위가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는 공천 룰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도 관심사다. 공천제도 혁신을 주도해야 하지만, 원외 인사인 데다 당내 기반도 취약한 김 위원장이 과연 중진 용퇴론이나 호남 물갈이론 등의 ‘칼날’을 휘두를 수 있을지에 벌써부터 의문이 제기된다. 원혜영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공천혁신추진단과 역할이 겹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상곤 혁신위 체제’가 순항하기 위해서는 당 지도부와의 ‘역할 정리’도 필수적이다. 문재인 대표는 김 위원장에게 혁신의 전권을 부여한다는 입장이지만, 이렇게 되면 당 지도부는 사실상 이름만 남는 셈이 된다. 혁신위의 권한을 놓고 집행기구인 최고위가 이견을 제시하면 양 기구 사이에 낀 문 대표의 리더십은 또다시 도마에 오를 수밖에 없다.

당 관계자는 “혁신위의 출범은 당 지도부의 무력화를 의미하는데, 최고위원들이 과연 가만히 보고만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혁신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문 대표는 이날 당내 대선주자 모임인 ‘희망스크럼’ 구성을 논의하기 위해 박원순 서울시장과 단독으로 만찬 회동을 가졌다. 내홍 수습을 위한 문 대표의 행보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05-2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