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친노 수장이란 말 없어질 때까지 노력”

문재인 “친노 수장이란 말 없어질 때까지 노력”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5-05-11 23:42
업데이트 2015-05-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고위서 ‘공갈 발언 파동’ 사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1일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발언으로 불거진 당내 내홍과 관련해 사과했지만 친노무현계와 비노무현계의 계파 갈등은 더욱 격화됐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주승용 최고위원의 사퇴 파동과 관련해 “국민과 당원께 큰 실망과 허탈감을 드렸다. 당을 대표해 특히 사과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고위원이 최고위에 참석하고 역할을 다하는 것은 권리가 아니라 의무”라며 주 최고위원의 당무 복귀를 촉구했다. 문 대표는 또 “‘문재인은 친노 수장’이라는 말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을 계속하겠다”며 ‘친노 프레임’ 탈피 의지를 밝혔다. 이날 최고위는 주 최고위원과 정 최고위원이 모두 불참해 반쪽이 됐다.

하지만 오후 곧바로 비노 측 수장인 김한길 전 대표가 반박하고 나섰다. 김 전 대표는 침묵을 깨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문 대표는 오로지 친노의 좌장으로 버티면서 끝까지 가 볼 것인지, 아니면 그야말로 야권을 대표하는 주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결단을 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내에서는 김 대표가 사실상 사퇴를 촉구한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이에 대해 김 대표 측 관계자는 “문 대표의 최측근인 노영민 의원과 문 대표의 발언이 비슷했다”면서 “사퇴를 촉구하는 것이 아니라 친노패권주의, 비선 청산을 얘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노 의원은 라디오에서 주 최고위원에 대해 “자기가 해야 할 의무를 이행하는 것을 가지고 논란을 벌이는 것은 자해 행위”라면서 “국민과 당원에 의해 선출된 최고위원이 그 직을 수행하는 것은 권리가 아닌 의무”라고 말했다.

비노 측에서도 반발이 거셌다. 박주선 의원은 라디오에서 “정 최고위원의 경우에도 친노의 핵심”이라며 “지도부가 총사퇴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경태 의원도 “친노패권족은 2선으로 후퇴하라”고 쓴소리를 했다.

한편 정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 불참한 뒤 주 최고위원의 지역구인 전남 여수 지역위원회 사무실을 사과 방문했다. 주 최고위원은 정 최고위원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개인적으로 여수까지 와서 사과한 것은 받아들이겠다. 하지만 내가 최고위원으로 복귀하는 건 별개 문제”라고 말했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기자들에게 돌렸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5-05-1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