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 시달린 탈북여성…기댈 곳 없어 ‘이중고’”

“성희롱 시달린 탈북여성…기댈 곳 없어 ‘이중고’”

입력 2015-03-29 10:10
업데이트 2015-03-29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첫 탈북여성 상담소 문 연 남영화 미래한반도여성협회장

탈북여성 김 씨는 작년 한국에 들어온 지 2년도 채 안 돼 자신을 고용한 사장에게 성폭행을 당했다.

그녀는 출근도 하지 못한 채 수치심과 분노에 몸을 떨었지만 차마 경찰에 신고할 수 없었다.

성범죄 자체가 생소한 탈북 여성에게 피해 사실을 제삼자에게 털어놓는다는 건 상상조차 어려운 창피하고 부끄러운 일이었다.

무엇보다 아직 적응하지 못한 이 땅에서 ‘성폭행 피해자’로 다른 사람의 입에 오르내릴 수 있다는 게 두려웠다.

주위를 둘러봐도 이런 고민을 속시원히 털어놓을 친구 한 명 찾기 어려운 현실은 그녀를 더욱 작아지게 만들었다.

결국 “내 아내가 알 수 있으니 더는 시끄럽게 하지 마라”는 가해 남성의 강압과 회유에 떠밀려 김 씨는 그가 건넨 돈을 받고 원치않는 합의를 해야 했다.

탈북자단체인 미래한반도여성협회 남영화(46·여) 회장은 탈북여성이 성폭력·가정폭력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무관심을 들었다.

’탈북여성은 피해를 당해도 대처법을 잘 모른다’는 편견 탓에 다른 이주민 여성처럼 탈북여성도 ‘만만한’ 폭행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죽기 전까지 고향 땅을 밟지 못할 수 있다’는 절망과 외로움은 피해 여성들을 더 깊은 고통으로 밀어 넣는다고 남 회장은 강조했다.

남 회장은 “다문화여성들은 가족과 전화를 할 수 있고 언젠가 고향에 갈 수 있다는 희망도 있지만 탈북여성에게는 꿈같은 얘기”라며 “다문화정책에 탈북여성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지만 탈북여성은 다문화 여성과 다른 돌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래한반도여성협회는 지난 21일 서울 양천구 목동에 국내 처음으로 탈북여성 전용 상담소((☎02-2655-1365)를 개소하고 탈북여성을 위한 각종 폭력상담, 취업 지원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남 회장은 2007년부터 탈북자를 상대로 한 IT교육 강사로 활동하면서 탈북여성 상담소의 필요성을 절감했지만 무관심과 편견 탓에 개소는 쉽지 않았다.

특히 사무실 임대, 상담원 교육 등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은 뜻있는 분들의 재능기부나 자비로 충당해야 했다.

남 회장은 아직 상담소 규모는 크지 않지만 각종 폭력과 외로움의 이중고에 시달리는 탈북여성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탈북자들은 죽어서 뼈가 잿가루가 돼서도 고향에 있는 부모·형제를 만날 수 없는 사람들이에요. 우리 스스로 탈북 여성을 돌봐줄 수 있는 시스템은 그래서 절실합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