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체제 후 국내입국 탈북자 ‘뚝’…올해 1천500명

김정은 체제 후 국내입국 탈북자 ‘뚝’…올해 1천500명

입력 2013-12-25 00:00
업데이트 2013-12-25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한 해 국내에 들어온 탈북자는 1천500명가량인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입국해 정부 합동신문을 거쳐 보호 결정 대상이 된 탈북자는 1천420명이다.

통일부는 현재 합동신문을 받는 인원을 더해 올 한 해 입국한 탈북자가 1천500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로써 국내에 들어온 탈북자의 총수는 올해까지 2만6천100명가량이 될 전망이다.

작년에는 1천502명의 탈북자가 남한에 들어왔다.

탈북자 입국 규모는 김정은 체제 등장 이후 크게 줄어들었다.

국내에 들어온 탈북자는 2006년 처음으로 2천명을 넘긴 이래 2007년 2천548명, 2008년 2천805명, 2009년 2천929명, 2010년 2천402명, 2011년 2천706명으로 일정 규모를 유지해왔다.

그러다가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에서 김정은 체제가 본격 출범한 작년에 1천502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이 탈북자 단속을 부쩍 강화하는 한편 탈북자들을 다시 북한으로 데려오는 공작에 적극 나선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특히 올해 들어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들의 재입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1월 김광호씨 부부가 북한에 돌아가 공개 기자회견을 열고 남한을 비난한 것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이런 형태의 기자회견이 다섯 차례 있었다. 북한 매체에 공개된 재입북 탈북자만 해도 모두 13명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활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공개한 사례 외에도 탈북자들의 추가 재입북 사례가 더 존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김정은 체제 들어 탈북자의 감소 추세가 뚜렷하다”며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