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화록 증발’에 ‘ MB·참여정부 책임론’ 공방

여야 ‘대화록 증발’에 ‘ MB·참여정부 책임론’ 공방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참여정부 폐기증언도 나와”…野 “이명박 정부에 의혹”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18일 양당 열람위원들이 국가기록원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한 데 대해 공식 반응을 내놨다.

새누리당은 공식적으로 “대화록을 빨리 찾아야 한다”면서도 참여 정부에서 폐기했을 가능성을 내비친 반면, 민주당은 노골적으로 이명박 정부를 배후로 지목해 향후 격렬한 책임공방을 예고했다.
참여정부 비서관들 “회의록을 대통령 기록관에 분명히 이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임상경 기록관리비서관(대통령기록관 초대 관장, 왼쪽부터), 김경수 연설기획비서관, 이창우 1부속실 행정관이 18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화록 실종’ 논란에 대해 “참여정부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대통령 기록관에 분명히 이관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참여정부 비서관들 “회의록을 대통령 기록관에 분명히 이관”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임상경 기록관리비서관(대통령기록관 초대 관장, 왼쪽부터), 김경수 연설기획비서관, 이창우 1부속실 행정관이 18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화록 실종’ 논란에 대해 “참여정부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대통령 기록관에 분명히 이관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가기록원에서 대화록을 찾았지만 어디에도 흔적이 없다고 하니 황망한 마음뿐”이라면서 “대화록을 더 꼼꼼히 찾아보는 노력은 하겠지만 대통령 기록물이 없어졌다는 사실에 국민은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진실은 대화록을 찾으면 알 수 있다”면서 “여야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하루빨리 대화록을 찾기 바란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진실이 밝혀지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민 대변인은 “일각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임기가 거의 끝나갈 때인 2007~2008년 초 대화록 폐기를 지시했고 그때 폐기된 것으로 알고 있다’거나 ‘당시 청와대가 대화록을 폐기하는 대신 봉하마을로 가져갔다는 얘기를 들었다’라는 등의 사실 여부가 확인 안 된 증언들이 나오고 있다”고 말해 참여정부 폐기 가능성을 넌지시 제기했다.

민주당 배재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황망한 심경을 감출 수 없고, 납득할 수도 없다”면서 “참여정부는 국가기록물관리법과 대통령기록물관리법을 만들었고 가장 많은 기록물을 남겼다. 대화록 사본조차 파기하지 않고 국정원에 남긴 노 전 대통령이 원본을 기록원에 넘기지 않았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배 대변인은 특히 “대화록 부재가 확인된다면 국민적 의혹의 눈초리가 국가기록원을 관리해온 이명박 정부로 쏠리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불법 민간인 사찰은 물론이고 국정원을 댓글부대로 전락시키고 댓글 증거자료마저 은폐 조작해 온 이명박 정부가 아닌가”며 이명박 정부를 직접 겨냥했다.

배 대변인은 “남재준 원장 체제의 국정원이 대화록을 불법 공개한 데 이어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은 NLL 포기가 맞다’고 주장하는 등 정치 쿠데타를 일삼는 이유가 혹시 대화록 원본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 아니냐”며 “’해적판 대화록’을 대선에 활용해 온 새누리당은 그 진실을 알고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