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南南 갈등’ 유도에 정면대응

정부, 北 ‘南南 갈등’ 유도에 정면대응

입력 2013-05-19 00:00
업데이트 2013-05-19 16: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반출 용의 있으면 지금이라도 대화 응하라”

통일부는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남남(南南)갈등’ 유도 시도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보고 정면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다.

개성공단 잠정 중단에 따른 입주기업 피해의 책임을 우리 측에 떠넘기려는 북한의 최근 여론 공세를 차단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휴일인 19일 통일부는 김형석 대변인 성명과 이어진 브리핑을 통해 지난 3일 우리측 최종 체류인원 7명 귀환 직후 이뤄진 북한의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 용의 입장 표명과 관련된 내용을 다시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은 홍양호 개성공단관리위원장이 귀환한 이후 미수금 지불을 위해 방북한 김호년 관리위 부위원장에게 느닷없이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과 관련한 협의 의사를 표명했다”며 “(당시) 남북한 통신도 되지 않는 등 추가적 협의가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현장에서 즉답을 달라’며 상식 밖의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관리위를 통해 계속 원부자재 반출 문제를 제기했으나 북한은 소위 ‘미수금 문제’의 우선 해결을 주장하며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 문제에 대한 납득할만한 입장을 내놓지 않다가 홍 위원장이 철수하고 남북한 전화마저 완전히 끊긴 직후 잠깐 북측 지역으로 건너간 김 부위원장에게 이런 입장을 표명하면서 즉답을 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북측의 입장 표명의) 진정성이 매우 의심스러운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문제를 협의할 진정한 의사가 있다면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불필요한 논란을 야기할 것이 아니라 우리 정부가 제의한 대화에 응해 나와야 할 것”이라며 “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되고 문제해결을 위한 남북간 협의가 이뤄지지 못하는 것은 전적으로 북한당국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 3일 방북·물자반출 허용 의사를 표명한 사실을 1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데 이어 17일과 18일에는 우리측 개성공단 입주기업 8곳에 팩스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문서를 보냈다.

현 사태의 책임을 상대방에 떠넘기고, 정부와 기업 간 틈새를 파고들어 ‘남남 갈등’을 조장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통일부는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이런 사실이 알려진 이후 개성공단 입주기업 사이에서는 적잖은 동요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첫 번째 팩스가 왔을 때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여러 가지로 숨기고 있다’, ‘장관이 해명하라’는 반응을 보였다”며 “북측이 의도한 측면으로 나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오늘 입장 정리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 정상화는 고사하고 원·부자재 및 완제품 반출이라는 실무적 문제에 대해서도 남북 당국이 좀처럼 대화의 접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눈덩이처럼 쌓여가는 입주기업의 피해를 놓고 당분간 양측은 책임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