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공개정보센터’ 설립 추진

통일부, ‘북한공개정보센터’ 설립 추진

입력 2011-06-23 00:00
업데이트 2011-06-23 07: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부가 언론과 국제기구, 웹사이트 등에 산재한 북한 관련 정보를 하나로 모아 북한공개정보센터(가칭)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23일 “정부보다 해외에서 북한관련 정보가 더 빠를 때가 있고, 국제기구 발표 자료 중에도 우리가 놓치고 있는 정보가 많다”면서 “이러한 정보를 모아 내년에 오픈 소스로 북한공개정보센터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미 공개된 자료지만 각국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던 것을 위키리크스처럼 한 데 모으자는 것”이라면서 “모인 정보는 일반인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정보수집에 있어 기존 정부기관 중심 형태에서 나아가 네트워크와 공개 정보를 중시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떨어져 있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또 국민에게도 서비스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확산으로 유용한 공개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 같은 정보의 활용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센터에 구축된 정보는 통일부가 현재 추진 중인 ‘북한 종합DB’와 연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통일부는 지난해부터 산업과 인문, 지리, 인물 등 북한에 관련한 각종 정보를 포괄하는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 당국자는 ‘북한이 중국에서 폭동 진압장비를 구입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다만 규모와 지속성을 깊이 있게 봐야 할 것 같다”면서 “내부 소요 가능성에 대해서는 나온 이야기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홍콩 신헝지(新恒基)그룹의 북한 황금평 개발설’에 대해서는 “맞는 것 같다”면서 “황금평 개발이 성공하려면 개인의 능력과 북한과 중국의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허허벌판인 황금평에 구체적으로 뭐가 들어갈지, 세제는 어떻게 할지 등은 합의가 안 돼 있다”면서 “세부사항은 실무기관이 얘기해서 결정하는 시스템인 것 같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황금평 사업은 북ㆍ중 경협의 터닝포인트”라면서 “공동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은 새로운 방식으로 구체적 사안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