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장토론에도 결론 못낸 한나라 전대룰…표대결 하나

끝장토론에도 결론 못낸 한나라 전대룰…표대결 하나

입력 2011-05-28 00:00
업데이트 2011-05-28 1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패키지 절충안 제시..‘대표ㆍ최고위원 분리선출’ 막판 쟁점대권ㆍ당권 분리규정 ‘현행 유지’로 한때 의견접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27일부터 28일 새벽까지 진행한 ‘11시간 마라톤 회의’의 막판 쟁점은 7ㆍ4 전당대회에서의 대표ㆍ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느냐의 문제였다.

전날 오후 2시20분부터 이날 새벽 1시30분까지 진행된 비대위 ‘끝장토론’에서는 최대 논란거리인 당권ㆍ대권 분리규정 개정 문제에 대한 실마리가 잡히며 극적 합의 가능성이 점쳐졌다.

비대위 초선 의원들이 당권ㆍ대권 분리시기를 1년6개월로 한 현행 규정을 유지하되 대선 예비후보 등록일을 240일 전에서 360일 전으로 앞당기자고 제안한데 따른 것이다.

대권주자들이 7ㆍ4 전대에 출마하지 못하더라도 대선 예비후보로 조기에 등록, 공식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른바 ‘대권주자 조기등판론’이라는 절충안을 내놓은 셈이다.

이에 대해 일부 비대위원이 “당권ㆍ대권 분리규정 완화는 대권주자의 조기역할을 위한 게 아니라 당권의 실세화를 위한 것”이라고 반대하면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차라리 대권ㆍ당권 분리와 관련한 현행 규정을 유지하자”고 한발 물러서며 합의에 이르는 듯 보였다.

그러나 초선 의원들이 마련한 절충안이 ‘대권ㆍ당권 분리완화 문제는 현행대로 하되, 대표ㆍ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자’는 패키지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논의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대표ㆍ최고위원 분리ㆍ통합 선출 문제를 놓고 소장파 의원들과 중진 의원들의 팽팽한 찬반 논쟁이 벌어진 것이다.

소장파 의원들은 “대권주자들의 당권 도전의 길이 막힌 상황에서 대표와 최고위원이 분리 선출돼야 당 대표의 위상이 강화될 수 있다”며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을 주장했다.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권ㆍ대권 분리규정 개정’으로 입장을 선회할 가능성도 있다.

반면 일부 중진 의원들은 “대표 경선에서 2, 3위를 한 사람도 당 운영에 적극 관여, 경험과 노하우를 보태야 한다”며 “현행대로 대표ㆍ최고위원을 통합해 선출하되, 당 대표에게 2명의 지명직 최고위원 선출 권한을 전적으로 부여하는 방식 등으로 위상을 확보하면 된다”고 맞섰다.

따라서 이 같은 ‘패키지 절충안’에 대한 의견접근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30일 회의에서 표결로 전대 규칙이 정해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날 회의에서 서울을 목표점으로 할 때 당권ㆍ대권 분리 문제는 수원까지 왔다”며 “표결로 전대 규칙을 결정할 경우 비대위의 작품이 졸작이 될 수 있는 만큼 30일 회의에서 합의를 도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